유용한정보

왜 하필이면 작심삼일 일까?

알 수 없는 사용자 2009. 1. 4. 00:16
작심삼일의 유래?

'작심(作心)'은 마음을 단단히 먹는다는 뜻입니다. ('맹자'의 '호변장에 나옴)

이 '작심삼일'은 두 가지 의미로 쓰이는데 사흘을 두고 생각하고 생각한 끝에 비로소 결정을 보았다는 신중성을 의미하기도 하고,
마음을 단단히 먹기는 했지만 사흘만 지나면 그 결심이 흐지부지 되고 만다는 뜻으로도 쓰입니다.


즉 앞의 경우는 사흘을 두고 작심했다는 뜻이고 뒤의 경우는 작심한 것이 사흘밖에 못간다는 뜻이죠.

그런데 보통은 뒤의 경우에서처럼 '부정적인 의미'로 더 사용하고 있습니다.

어떤 일이든지 하루나 이틀 정도는 그런대로 본인의지로 견딜만 합니다. 하지만 삼일되는 날부터는 처음에 먹었던 마음가짐이 조금씩 흐트러지기 시작하면서 자기와의 싸움이 시작됩니다. 그래서 '삼일'만에 포기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리 옛 속담에도 '고려공사삼일(高麗公事三日)'이라는 말이 있는데 이 말은 '우리나라 사람의 성격이 처음에는 잘 하다가 조금 지난 후에는 흐지부지해진다.'는 뜻으로 쓰입니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이 말이 '어떤일이 일관성 없이 자주 바뀐다'는 뜻으로 쓰이기도 하는데 그 이유는,

인조(仁祖)때 유몽인(柳夢寅)의 <어우야담(於于野談)>에서 비롯된 '조선공사삼일(朝鮮公事三日)'의 영향을 받은 것입니다.

서애 유성룡(西涯 柳成龍)이 도체찰사(都體察使)로 있을 때, 각 고을에 발송할 공문이 있어서 역리(驛吏)에게 주었지만 공문을 보낸 후 사흘 뒤에 그 공문을 다시 고칠 필요가 있어서 회수시켰더니 그 역리는 공문을 발송하지도 않고 있다가 고스란히 그대로 가지고 왔다고 합니다.

이에 유성룡이 화를 내며 "너는 어찌 사흘이 지나도록 공문을 발송하지 않았느냐?"라고 꾸짖으니 역리가 대답하기를 "속담에 '조선공사삼일'이란 말이 있어 소인의 소견으로 사흘 후에 다시 고칠 것을 예상하였기에 사흘을 기다리느라고 보내지 않았습니다."라고 했답니다.

이말을 들은 유성룡은 "가히 세상을 깨우칠 말이다. 나의 잘못이다." 라며 공문을 고친 뒤 반포했다고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