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한정보

올바른 응급실 이용원칙

tipInfo 2016. 7. 11. 21:32

올바른 응급실 이용 원칙 알면 정확한 치료 도움


심장·뇌·외상 환자 등 중증 경우 대형 병원 찾아야, 가벼운 골절·상처부위 꿰맬 땐 덜 붐비는 중소병원

 

응급실 찾을 땐 복용하던 약봉지 가져가면 도움, 독극물, 약물 등 음독 시에는 마신 약물 가져가야 

 

누구나 한번쯤 응급실에 달려가 본 적이 있을 것이다. 대부분 늦은 밤 아이가 아플 때, 크게 다쳤을 때, 우연히 사고 현장을 목격했을 때와 같이 위급한 상황에는 서둘러 큰 병원의 응급실을 찾게 된다. 

 

그러나 막상 응급실에 도착하게 되면 긴 대기 시간으로 제대로 진료를 받지 못하거나 다른 병원 이용을 권유 받는 경우가 적지 않다. 

 

보건복지부의 ‘2015년 응급의료기관 평가’ 결과를 살펴보면 대기 시간이 긴 상위 20개 병원에서 중증 응급환자가 수술실이나 병실로 가지 못하고 응급실에 대기하는 시간은 평균 14시간이나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이대목동병원은 서남권 권역응급의료센터 개소를 맞아 응급 환자들의 보다 효과적인 치료를 돕고자 ‘올바른 응급실 이용법’을 발표했다.

 

응급 상황 여부 파악 후 119 센터에 도움 요청, 필요 시 즉각적인 응급처치 시행

 

응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는 환자를 안전한 지역을 옮긴 후 상태를 살피고, 무조건적으로 환자를 병원에 이송하기보다는 응급 상황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도 폐쇄 △호흡 곤란 △숨을 쉬지 않는 경우 △분만 △심장 마비 △의식이 없는 경우 △심한 출혈이나 화상 및 경련 환자 △물에 빠졌을 때 △중독 환자 △자살기도 등에는 주변의 여러 사람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동시에 반드시 119 센터에 연락하여 빠르게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센터에 신고할 때는 환자의 위치, 주소 및 전화번호, 문제발생 경위, 환자 상태와 수, 주위의 위험요소 유무 등 본인이 최대한 파악한 정보를 천천히 정확하게 전하고, 필요에 따라 심폐소생술 등 즉각적인 응급처치를 취하는 것이 환자에게 큰 도움이 된다.

 

대형 병원 이용 전 필요 여부 점검, 결정 어려울 땐 119센터 도움 받기

 

응급실은 말 그대로 응급한 환자들이 모이는 곳이라, 접수순서가 아닌 위급한 사람을 먼저 치료하게 된다. 

 

특히 대형 병원은 환자가 더욱 몰리므로 대기시간이 많이 길어질 수 있다. 때문에 대학 병원의 응급실 이용이 반드시 필요한지도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평소 앓고 있던 질환으로 응급상황이 발생했을 때는 그동안 다니던 병원을 우선 이용하는 것이 현명하다. 주치의가 환자의 상태를 가장 빨리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환자의 증상이 응급인지 아닌지, 일반 병원을 찾아도 되는 것인지 판단을 내릴 수 없을 때는 119센터에 상담 받을 것을 권한다. 119센터에서는 환자가 덜 붐비는 응급실이나 약국의 위치, 어떠한 응급조치가 필요할지도 안내 받을 수 있다.

 

일분일초를 다투는 심장·뇌·외상 환자는 종합 병원 응급실 방문 필수

 

심장·뇌·외상 환자와 같이 생명을 놓고 촌각을 다투는 환자는 대형 병원에 가야 한다. 중소병원의 경우 24시간 응급의학 전문의가 상주하지 않거나 전문 치료 기기 등이 없어, 적절한 응급처치가 어려울 수 있다. 

 

심근경색이나 협심증 등과 같은 심장 질환을 의심해 볼 수 있는 쥐어짜는 듯한 가슴 통증이나 호흡곤란, 가슴 답답함 등을 느낄 때, 뇌 질환의 주요 증상인 매우 극심한 두통, 시야가 흐려지거나 한쪽 팔, 다리 감각 이상 등이 나타나는 경우, 하혈하거나 피를 많이 토하는 등의 증상이 있을 때는 반드시 종합병원의 응급실을 방문해야 한다.

 

어린 자녀가 열이 심하게 나는 경우 응급실 방문 권장, 소아 전문 응급실 이용하는 것도 방법

 

부모는 자녀가 아플 때만큼 애타는 순간은 없을 것이다. 

 

생후 6개월 이내의 아이가 38도이거나 생후 6개월 이상의 아이가 39도 이상일 때, 열이 내리지 않고 열 경기를 일으킬 때, 평소와 달리 아이가 축 쳐져 있을 경우, 먹지 말아야 할 음식물을 먹은 경우에는 즉시 응급실로 향해야 한다. 

 

열이 났을 땐 열이 난 시간과 해열제를 투여한 시간, 소변과 대변 횟수 등을 시간대 별로 기록해 가면 진료에 도움이 되고, 아기수첩이나 대기시간 고려해 장난감, 가재손수건, 담요 등도 함께 챙겨 가면 좋다. 

 

평소 집 주변에 소아청소년과 전문의가 상주하는 소아 전문 응급실이나 밤 12시까지 야간 진료하는 병원들을 미리 알아두어 찾아가는 것도 방법이다. 해당 병원이 집에서 멀다면 보건복지부에서 운영하는 ‘응급의료 포털사이트(www.e-gen.or.kr)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가까운 응급실 혹은 응급의료센터를 확인해 방문하면 된다.

 

화상·손가락 절단 시에는 전문 응급병원, 골절 및 상처부위 꿰맬 땐 중소 병원 이용 고려

 

상황에 따라 보다 빠른 치료가 가능한 병원 이용을 고려해 볼 수 있다. 화상이나 수지 봉합이 필요할 때는 전문 응급병원을, 골절이나 찢어진 부위를 꿰매야 할 때는 중소 병원의 응급실을 방문해도 무방하다. 

 

전문 응급병원은 검사·치료 기기뿐 아니라 치료 경험도 풍부한 편이다. 또한 골절의 경우 응급처치의 프로세스가 병원마다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중소 병원 응급실에서 1차 처치를 받고 필요에 따라 부기가 빠지는 1~2주 후에 원하는 병원에서 수술을 하면 된다. 

 

다친 부위를 꿰매는 것도 최소 6시간에서 최대 24시간 내에 수술하면 되어, 중소 병원에서 기본 처치를 받고 가까운 성형외과에 가서 꿰매면 된다.

 

이대목동병원 응급의학과 한철 교수는 “응급상황이 발생했을 때 대다수의 사람들이 당황하기 때문에 평소 소아 전문 응급실 등 집 주변의 응급실 리스트를 파악해 두고, 간단한 응급처치 방법을 익혀두는 것은 만일의 위험을 대비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며, “또 우리나라 환자들의 경우 경증의 질환이라도 무조건 대형 병원 응급실로 찾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중증응급환자에 대한 치료의 질을 떨어뜨릴 뿐 아니라 본인 또한 시간적·경제적 손해를 볼 수 있어 지양해야 한다. 응급실 방문의 필요 여부에 대한 판단이 서지 않을 때는 119와 같은 전담 센터의 도움을 받는 게 좋다”고 전했다.





응급실 이용원칙, 소아전문응급실-전문병원-119센터 상담만 알고있어도 뚝딱


응급실 이용원칙이 주목받고있다.


최근, 이화여대 목동 병원은 응급환자들의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 ‘올바른 응급실 이용법’을 발표했다.


이 발표에 의하면, 응급실을 방문하기 전 응급실 이용이 반드시 필요한지에 점검할 필요가 있다. 평소 앓고 있던 질환으로 인한 응급상황은 평소에 다니던 병원을 방문하는것이 좋으며, 응급여부를 모를때에는 119센터에 상담을 요청하면 된다.


또한, 심장이나 뇌, 외상과 같이 1분1초에 생명이 갈릴 수 있는 환자의 경우 중소병원이 나닌 대형병원 응급실을 이용해야하며, 자녀가 아플땐 소아 전문 응급실을 이용하는 것도 빠르고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방법이다.


더불어 아이가 열이 났을 땐 열이 난 시간과 해열제를 투여한 시간, 소변과 대변 횟수 등을 시간대 별로 기록해 가고, 아기수첩이나 아이의 장난감, 가재손수건, 담요 등을 챙겨가는것도 도움이 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평소에 집 주변에 위치한 소아 전문 응급실이나 소아청소년과 전문의가 상주하는 응급실을 미리 알아보는 것이 좋다.


뿐만아니라 화상이나 손가락 절단과 같은 사고시에는 전문 응급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화상이나 수지 봉합이 필요한 경우에는 전문 응급병원, 골절이나 열상의 경우에는 중소 병원의 응급실을 방문해도 무방하다.


또한 경증의 질환으로 무조건 대형 병원 응급실을 방문하는 것은 중증응급환자에 대한 치료의 질을 떨어뜨리고, 본인의 시간적 경제적 손해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지양하는 것이 좋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