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표기의 기본 원칙
[제1장] 총칙
- 제1항
- 외래어는 국어의 현용 24 자모만으로 적는다.
제2항- 외래어의 1 음운은 원칙적으로 1 기호로 적는다.
제3항- 받침에는 'ㄱ, ㄴ, ㄹ, ㅁ, ㅂ, ㅅ, ㅇ'만을 쓴다.
제4항- 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제5항- 이미 굳어진 외래어는 관용을 존중하되, 그 범위와 용례는 따로 정한다.
[제2장] 표기 일람표
- 외래어는 표에 따라 표기한다.
[표 1] 국제 음성 기호와 한글 대조표
자음 | 반모음 | 모음 | ||||
국제 음성 기호 |
한글 | 국제 음성 기호 |
한글 | 국제 음성 기호 |
한글 | |
모음 앞 | 자음 앞 또는 어말 | |||||
p | ㅍ | ㅂ, 프 | j | 이* | i | 이 |
b | ㅂ | 브 | ![]() |
오, 우* | e | 에 |
t | ㅌ | ㅅ, 트 | w | 오, 우* | e | 에 |
d | ㄷ | 드 | φ | 외 | ||
k | ㅋ | ㄱ, 크 | ![]() |
에 | ||
g | ㄱ | 그 | ![]() |
앵 | ||
f | ㅍ | 프 | œ | 외 | ||
v | ㅂ | 브 | ![]() |
욍 | ||
θ | ㅅ | 스 | æ | 애 | ||
ð | ㄷ | 드 | a | 아 | ||
s | ㅅ | 스 | ![]() |
아 | ||
z | ㅈ | 즈 | ![]() |
앙 | ||
![]() |
시 | 슈, 시 | ![]() |
어 | ||
![]() |
ㅈ | 지 | ![]() |
오 | ||
ts | ㅊ | 츠 | ![]() |
옹 | ||
dz | ㅈ | 즈 | o | 오 | ||
![]() |
ㅊ | 츠 | u | 우 | ||
![]() |
ㅈ | 지 | ![]() |
어 | ||
m | ㅁ | ㅁ | ![]() |
어 | ||
n | ㄴ | ㄴ | ||||
![]() |
니* | 뉴 | ||||
![]() |
ㅇ | ㅇ | ||||
l | ㄹ, ㄹㄹ | ㄹ | ||||
r | ㄹ | 르 | ||||
h | ㅎ | 흐 | ||||
![]() |
ㅎ | 히 | ||||
x | ㅎ | 흐 |
- * [j], [w]의 '이'와 '오, 우', 그리고 [
]의 '니'는 모음과 결합할 때 제3장 표기 세칙에 따른다.
- ** 독일어의 경우에는 '에', 프랑스 어의 경우에는 '으'로 적는다.
- ** 독일어의 경우에는 '에', 프랑스 어의 경우에는 '으'로 적는다.
[제3장] 표기 세칙
- 제1절
- 영어의 표기
- 표 1에 따라 적되, 다음 사항에 유의하여 적는다.
제1항- 무성 파열음 ([p], [t], [k])
1. 짧은 모음 다음의 어말 무성 파열음([p], [t], [k])은 받침으로 적는다.
제1절 표기 원칙
gap[gæp] 갭 | cat[kæt] 캣 | book[buk] 북 |
- 2. 짧은 모음과 유음·비음([l], [r], [m], [n]) 이외의 자음 사이에 오는 무성 파열음([p], [t], [k])은 받침으로 적는다.
apt[æpt] 앱트 | setback[setbæk] 셋백 | act[ækt] 액트 |
- 3. 위 경우 이외의 어말과 자음 앞의 [p], [t], [k]는 '으'를 붙여 적는다.
stamp[stæmp] 스탬프 | cape[keip] 케이프 |
nest[nest] 네스트 | part[pαːt] 파트 |
desk[desk] 데스크 | make[meik] 메이크 |
apple[æpl] 애플 | mattress[mætris] 매트리스 |
chipmunk[t![]() ![]() |
sickness[siknis] 시크니스 |
- 제2항
- 유성 파열음([b], [d], [g])
어말과 모든 자음 앞에 오는 유성 파열음은 '으'를 붙여 적는다..
bulb[b![]() |
land[lænd] 랜드 |
zigzag[zigzæg] 지그재그 | lobster[l![]() ![]() |
kidnap[kidnæp] 키드냅 | signal[sign![]() |
- 제3항
- 마찰음([s], [z], [f], [v], [θ], [ð], [
], [
])
1. 어말 또는 자음 앞의 [s], [z], [f], [v], [θ], [ð]는 '으'를 붙여 적는다.
mask[mαːsk] 마스크 | jazz[![]() |
graph[græf] 그래프 | olive[![]() |
thrill[θril] 스릴 | bathe[beið] 베이드 |
- 2. 어말의 [
]는 '시'로 적고, 자음 앞의 [
]는 '슈'로, 모음 앞의 [
]는 뒤따르는 모음에 따라 '샤', '섀', '셔', '셰', '쇼', '슈', '시'로 적는다.
flash[flæ![]() |
shrub[![]() |
shark[![]() |
shank[![]() |
fashion[fæ![]() ![]() |
sheriff[![]() |
shopping[![]() ![]() |
shoe[![]() |
shim[![]() |
- 3. 어말 또는 자음 앞의 [
]는 '지'로 적고, 모음 앞의 [
]는 'ㅈ'으로 적는다.
mirage[mirαː![]() |
vision[vi![]() ![]() |
- 제4항
- 파찰음([ts], [dz], [t
], [d
])
1. 어말 또는 자음 앞의 [ts], [dz]는 '츠', '즈'로 적고, [t?], [d?]는 '치', '지'로 적는다.
Keats[kiːts] 키츠 | odds[![]() |
switch[swit![]() |
bridge[brid![]() |
Pittsburgh[pitsb![]() |
hitchhike[hit![]() |
- 2. 모음 앞의 [t
], [d
]는 'ㅊ', 'ㅈ'으로 적는다.
chart[t![]() |
virgin[v![]() ![]() |
- 제5항
- 비음([m], [n], [ŋ])
1. 어말 또는 자음 앞의 비음은 모두 받침으로 적는다.
steam[stiːm] 스팀 | corn[k![]() |
ring[riŋ] 링 | lamp[læmp] 램프 |
hint[hint] 힌트 | ink[iŋk] 잉크 |
- 2. 모음과 모음 사이의 [ŋ]은 앞 음절의 받침 'ㆁ'으로 적는다. .
hanging[hæŋiŋ] 행잉 | longing[l![]() |
- 제6항
- 유음([l])
1. 어말 또는 자음 앞의 [l]은 받침으로 적는다.
hotel[houtel] 호텔 | pulp[p![]() |
- 2.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오거나, 모음이 따르지 않는 비음([m], [n])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다만, 비음([m], [n]) 뒤의 [l]은 모음 앞에 오더라도 'ㄹ'로 적는다.
slide[slaid] 슬라이드 | film[film] 필름 |
helm[helm] 헬름 | swoln[swouln] 스월른 |
Hamlet[hæmlit] 햄릿 | Henley[henli] 헨리 |
- 제7항
- 장모음
장모음의 장음은 따로 표기하지 않는다.
team[tiːm] 팀 | route[ruːt] 루트 |
- 제8항
- 중모음 ([ai], [au], [ei], [
i], [ou], [au
])
중모음은 각 단모음의 음가를 살려서 적되, [ou]는 '오'로, [au]는 '아워'로 적는다.
time[taim] 타임 | house[haus] 하우스 |
skate[skeit] 스케이트 | oil[![]() |
boat[bout] 보트 | tower[tau![]() |
- 제9항
- 반모음([w], [j])
1. [w]는 뒤따르는 모음에 따라 [w], [w
], [wou]는 '워', [wα]는 '와', [wæ]는 '왜', [we]는 '웨', [wi]는 '위', [wu]는 '우'로 적는다.
word[w![]() |
want[w![]() |
woe[wou] 워 | wander[wαnd![]() |
wag[wæg] 왜그 | west[west] 웨스트 |
witch[wit![]() |
wool[wul] 울 |
- 2. 자음 뒤에 [w]가 올 때에는 두 음절로 갈라 적되, [gw], [hw], [kw]는 한 음절로 붙여 적는다.
swing[swiŋ] 스윙 | twist[twist] 트위스트 |
penguin[peŋgwin] 펭귄 | whistle[hwisl] 휘슬 |
quarter[kw![]() ![]() |
- 3. 반모음 [j]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야', '얘', '여', '예', '요', '유', '이'로 적는다. 다만, [d], [l], [n] 다음에 [j
]가 올 때에는 각각 '디어', '리어', '니어'로 적는다.
yard[jαːd] 야드 | yank[jæŋk] 얭크 |
yearn[j![]() |
yellow[jelou] 옐로 |
yawn[j![]() |
you[juː] 유 |
year[ji![]() |
Indian[indj![]() |
battalion[b![]() ![]() |
union[juːnj![]() |
- 제10항
- 복합어
1. 따로 설 수 있는 말의 합성으로 이루어진 복합어는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말이 단독으로 쓰일 때의 표기대로 적는다.
cuplike[k![]() |
bookend[bukend] 북엔드 |
headlight[hedlait] 헤드라이트 | touchwood[t![]() ![]() |
sit-in[sitin] 싯인 | bookmaker[bukmeik![]() |
flashgun[flæ![]() ![]() |
topknot[t![]() ![]() |
- 2. 원어에서 띄어 쓴 말은 띄어 쓴 대로 한글 표기를 하되, 붙여 쓸 수도 있다.
Los Alamos[l![]() ![]() |
top class[t![]() |
[제4장] 인명, 지명 표기의 원칙
- 제1항
- 외국의 인명, 지명의 표기는 제1장, 제2장, 제3장의 규정을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제2항- 제3장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언어권의 인명, 지명은 원지음을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제1절 표기 원칙
Ankara 앙카라 | Gandhi 간디 |
- 제3항
- 원지음이 아닌 제3국의 발음으로 통용되고 있는 것은 관용을 따른다.
Hague 헤이그 | Caesar 시저 |
- 제4항
- 고유 명사의 번역명이 통용되는 경우 관용을 따른다.
Pacific Ocean 태평양 | Black Sea 흑해 |
- 제1항
- 중국 인명은 과거인과 현대인을 구분하여 과거인은 종전의 한자음대로 표기하고, 현대인은 원칙적으로 중국어 표기법에 따라 표기하되, 필요한 경우 한자를 병기한다.
제2항- 중국의 역사 지명으로서 현재 쓰이지 않는 것은 우리 한자음대로 하고, 현재 지명과 동일한 것은 중국어 표기법에 따라 표기하되, 필요한 경우 한자를 병기한다.
제3항- 일본의 인명과 지명은 과거와 현대의 구분 없이 일본어 표기법에 따라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필요한 경우 한자를 병기한다.
제4항- 중국 및 일본의 지명 가운데 한국 한자음으로 읽는 관용이 있는 것은 이를 허용한다.
제2절 동양의 인명, 지명 표기
東京 | 도쿄, 동경 | 京都 | 교토, 경도 |
上海 | 상하이, 상해 | 臺灣 | 타이완, 대만 |
黃河 | 황허, 황하 |
- 제1항
- '해', '섬', '강', '산' 등이 외래어에 붙을 때에는 띄어 쓰고, 우리말에 붙을 때에는 붙여 쓴다.
제3절 바다, 섬, 강, 산 등의 표기 세칙
카리브 해 | 북해 |
발리 섬 | 목요섬 |
- 제2항
- 바다는 '해(海)'로 통일한다.
홍해 | 발트 해 | 아라비아 해 |
- 제3항
- 우리 나라를 제외하고 섬은 모두 '섬'으로 통일한다.
타이완 섬 | 코르시카 섬 | (우리 나라: 제주도, 울릉도) |
- 제4항
- 한자 사용 지역(일본, 중국)의 지명이 하나의 한자로 되어 있을 경우, '강', '산', '호', '섬' 등은 겹쳐 적는다
온타케 산(御岳) | 주장 강(珠江) | 도시마 섬(利島) |
하야카와 강(早川) | 위산 산(玉山) |
- 제5항
- 지명이 산맥, 산, 강 등의 뜻이 들어 있는 것은 '산맥', '산', '강' 등을 겹쳐 적는다.
Rio Grande 리오그란데 강 | Monte Rosa 몬테로사 산 |
Mont Blanc 몽블랑 산 | Sierra Madre 시에라마드레 산맥 |
반응형
'유용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찰과상 (0) | 2008.06.15 |
---|---|
부모들도 응급처치 법을 배워야 한다 (0) | 2008.06.15 |
부모들도 응급처치 법을 배워야 한다 (0) | 2008.06.15 |
가정상비약 [家庭常備藥] (0) | 2008.06.15 |
가정상비약 [家庭常備藥] (0) | 2008.06.15 |
외래어 표기법 원칙 (0) | 2008.06.15 |
아파트 면적 개념정리 (0) | 2008.06.13 |
아파트 면적 개념정리 (0) | 2008.06.13 |
성장통이란 무엇인가요 (0) | 2008.06.13 |
성장통이란 무엇인가요 (0) | 2008.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