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한정보

한국, 중국, 일본 젓가락의 차이점

알 수 없는 사용자 2009. 5. 28. 00:38

한국의 젓가락은 중국과 일본의 나무젓가락과는 달리 쇠젓가락입니다.

반도의 특성이어서인지 일본의 것보다는 길고 중국의 것 보다는 짧습니다.

밥상문화라서 굳이 젓가락이 길 필요가 없어서 젓가락이 짧은 편이고, 국 문화가 발달했는데 나무젓가락은 국물에 젖어서 비위생적일수 있기때문에 주로 쇠젓가락을 씁니다.

뾰족하기보다는 납작한 편이며 위 아래 굵기의 차이가 적습니다

한국은 밥그릇을 상에 두고 먹고 , 중국과 일본은 찰기가 없는 쌀이기 때문에 밥그릇을 입 가까이 손에 들고 젓가락으로 먹습니다


한국 젓가락은 지리적 위치만큼이나 중간적입니다. 25㎝ 안팎 길이에, 끝은 뾰족하지도 뭉툭하지도 않고 납작합니다. 두 나라와 결정적으로 다른 것은 쇠붙이를 젓가락 재료로 씁니다.

예전에는 은과 놋쇠를 주로 썼고, 현대에 와선 묵직한 스텐레스 스틸이나 가벼운 알미늄 둘 다 쓰입니다.

일본 사람들은 밥그릇과 반찬, 국그릇을 모두 자기 앞에 놓인 상에서 먹기 때문에 젓가락도 짧고 뭉뚝합니다.

또 가시가 있는 생선이나 껍데기가 있는 해산물, 우동과 같은 면류를 많이 먹기 때문에 젓가락의 끝 쪽은 뾰족합니다. 일본에서는 제사용 젓가락은 흰색을 쓰는데, 이는 죽은 사람에 대한 존경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동시에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기를 바라는 의미가 담겨있다고 합니다

중국 사람들은 온 식구가 둘러앉아 식사를 해 음식과의 거리가 멀고 반찬에 기름기가 많고 집기가 어렵기 때문에 젓가락이 가늘고 깁니다.

중국에서는 나이 많은 사람이 세상을 뜨면 죽은 사람의 덕분에 장수하고 재해를 막을 수 있다고 여겨 붉은 색 젓가락을 쓰기도 합니다.


한국의 경우 길이는 비교적 보통 수준이다. 주 재질은 금속 계통.
중국의 경우 길이가 가장 긴 편. 중국 음식 특성상 뜨거운 기름을 사용한 경우가 많아 데이는 등의 위험을 방지코자 길어진 듯. 주 재질은 나무.
일본의 경우 길이가 보통이거나 짧고 음식을 먹는 방법에 따라 짧게 발달 . 역시 나무가 주 재료 .


15억 아시아인이 젓가락 문화를 가지고 있지만 그 중에서도 한·중·일 3국이 젓가락 종주국을 자처한다. 중국에서는 최근 베이징 올림픽의 성공을 위하여 ‘올바른 젓가락 사용부터’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전통문화 계승에 불을 지피고 있고, 일본에서는 이미 ‘젓가락의 날’을 지정한 지 오래되었다.

한국과 중국과 일본의 젓가락은 각각 어떤 차이가 있나. 젓가락 사용은 중국→한국→일본 순으로 전파되었다. 하지만 젓가락 발전사(史)는 음식문화의 발전과 함께 크게 변화되었다



한국

한국인은 젓가락으로 김치 찢고, 깻잎절임 한 장씩 떼고, 도토리묵까지 집을수 있다
우리나라는 중간 길이의 젓가락이 보편화되어 있고 굵기나 형태가 중국과 일본의 중간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쇠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역사적으로 금속을 다루는 문화가 발전하면서 자연스럽게 쇠를 수저에 이용하는 방법이 보편화되었다고 한다. 쇠는 나무라는 재질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일본과 중국의 나무젓가락과 비교하여 굵기도 가늘고 손가락으로 잡는 데 미끄럽고 조절하기가 매우 까다롭다.



중국

중국은 전형적인 식탁문화로서 음식 보존을 위한 튀김문화가 자연스럽게 자리잡게 되었고 여기서 긴 형태의 젓가락 사용이 보편화되고 특히 식탁 가운데에 위치한 음식을 덜고 집기 위한 형태로서도 긴 젓가락 사용이 요구되었다.

재질은 주로 대나무 등 나무를 사용하고 잡는 부위가 뭉툭하며 잡는 방법에 대한 일정한 규칙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지역적인 특성이 달라 다양한 형태의 나무젓가락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다양한 음식 문화의 도입과 더불어 플라스틱 젓가락, 포크 등 다양한 도구로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젓가락 집는 자세도 튀김 등 크기가 큰 음식이 주를 이루어 섬세하고 정확한 동작을 요구하기보다는 편하게 잡는 기능이 중시되었다.



일본

일본은 우리와 비슷한 밥상 문화가 주를 이루고 해양국가여서 생선 등 음식의 특성상 짧은 형태의 젓가락이 발달하게 되었고 밥그릇을 입으로 가져가 젓가락으로 밥을 긁어먹는 관계로 굳이 긴 젓가락이 필요하지 않게 되었다. 이러한 음식 문화는 중국 등과 함께 숟가락 사용이 불필요하게 되었고 오직 젓가락만 사용하는 음식문화가 정착하게 되었다. 역시 중국과 마찬가지로 여러 가지 재질의 나무를 사용하여 만들고 있다.

특히 한국의 음식 문화는 젓가락 사용을 신의 경지에 이르게 하는 요소가 있다. 중국이나 일본과는 달리
여러 명이 하나의 음식을 놓고 먹다 보니 경쟁 속에 음식을 차지하여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였고
음식의 종류도 다양하고 재질도 특이하여 젓가락질을 제대로 하지 않고서는 도저히 집을 수 없다.
젓가락으로 김치를 찢기도 하고 깻잎절임을 한 장씩 떼는 묘기도 구사하며 도토리묵도 힘과 정확도를 구사하며 집어먹을 수 있는 기술도 자연스럽게 익히게 되었다.
또한 탕 문화가 보편화되어 필요에 따라 숟가락도 함께 사용하여야 하므로 손의 움직임과 빈도는 중국이나 일본과는 비교도 되지 않는다. 더욱이 ‘공동 음식’을 놓고 경쟁을 하다보니 치열함, 정확성, 섬세함 등이 젓가락을 통해 발휘되어야 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추가정보 : 은수저는 독성분을 별로 판독할수 없다 .
예로부터 우리 조상들은 은수저를 통해 음식에 독이 들어있는지 여부를 판단했다.
실제 은 성분은 비소 등 독성물질과 화학반응을 일으켜 검게 변색되기 때문에 위로는 왕에서부터 양반가에 이르기까지 ‘천연 독 검출기’로서 폭 넓게 활용됐다.

하지만 은이 모든 독소를 검출해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질산, 황산, 오존 등 몇몇 물질들과는 화학반응을 일으키지만 그 외의 독성물질과는 전혀 반응하지 않기 때문이다.
독버섯 또한 후자에 속하는 물질이다. 질산, 황산, 오존 등의 성분이 전혀 들어있지 않아 은수저로는 탐지가 불가능하다.

사실 현존하는 독성분 중 은수저로 그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은 극소수에 불과하다.
은수저만으로 독의 유무를 판단하는 것 자체가 어리석게 느껴질 정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은수저가 지금과 같은 명성을 얻게 된 것일까.
그것은 과거에 가장 쉽게 구할 수 있었던 극약이 바로 ‘비상(arsenic trioxide)’이었다는데 기인한다.

사극 드라마에도 자주 등장하는 이 비상은 비소(As)와 황(S)의 화합물로서 은수저가 신속히 반응하는 대표적인 맹독성 물질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