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와이슈

교육부 2020년까지 사회맞춤형학과 입학생 70% 취업 보장

tipInfo 2016. 7. 4. 19:42

교육부 2020년까지 사회맞춤형학과 입학생 70% 취업 보장


교육부, '사회맞춤형학과 활성화 방안' 발표 산업체 취업률 2015년 32.6%→2020년 70% 인력 미스매치·청년 취업난 해소 기대


대학이 산업체 요구를 반영한 교육과정을 기존 학과에 별도로 만들어 운영하고, 기업은 해당 교육과정을 이수한 학생의 취업을 우대하는 '사회맞춤형학과'를 활성화하는 방안이 적극 추진된다.


교육부는 2020년까지 사회맞춤형학과 입학생 10명 중 7명의 산업체 취업을 보장하는 내용이 담긴 '사회맞춤형학과 활성화 방안'을 4일 국무회의에 보고하고 이를 확정했다고 4일 밝혔다. 인력 수급 불균형(미스매치)과 청년 취업난을 해소한다는 취지다.


그동안 사회수요에 부응하는 실용적 인재 양성을 위해 1994년과 2003년부터 각각 사회맞춤형학과(주문식 교육과정)와 계약학과(기업체 요청에 따라 채용을 우선 확정하고 교육과정을 운영)를 운영해왔지만 기대만큼 활성화되고 있지 않은데 따른 것이다.


이에 따라 교육부는 계약학과에 입학한 학생의 산업체 취업률을 지난해 91.4%에서 2016년부터 2020년까지 90% 이상으로 유지하면서 사회맞춤형학과에 입학한 학생의 산업체 취업률을 지난해 32.6%에서 올해 40%, 2017년 55%, 2020년 70%로 단계적으로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계약학과·사회맞춤형학과 교육과정을 이수하는 학생 수도 2015년 총 7421명(계약학과 1813명·사회맞춤형학과 5608명)에서 올해 8000명, 2017년 1만5000명, 2020년 2만5000명으로 늘려나간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교육부는 산업체 요구에 맞춘 교육을 이수한 학생이 졸업과 동시에 해당 산업체나 협력업체에서 일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로 했다. 성균관대 '반도체 시스템공학과' 교육과정(352명)과 숭실대 'LG디스플레이 트랙' 교육과정(50명)등이 성공 사례로 꼽힌다.


산업체가 원하는 인재를 선발할 수 있도록 지원해 사회맞춤형학과와 계약학과 재학생의 취업률도 높이기로 했다. 산업체 관계자가 학생 선발 과정에 면접관으로 참여해 원하는 학생을 선발하고, 신입사원 채용절차와 동일한 기준을 적용해 관련 학과의 입학생을 선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대학과 산업체가 '교육과정 운영위원회'를 통해 교육과정과 교재도 함께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로 했다. 한 예로 한동대 기계제어공학부는 현대자동차의 의사를 반영해 학부 내 '현대자동차 그룹 자동차트랙 계약학과' 교재를 개발했다. 또 현대자동차 산하 현대NGV(산학협력전담)에서 교재의 적합성을 검증받았다.


교육부는 사회맞춤형학과 운영에 참여하는 기업의 재정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사회맞춤형 학과 운영에 소요되는 비용에 대해 세제지원 혜택을 제공한다. 올해 하반기 산학협력법 개정을 통해서다.


이영 교육부 차관은 "산업체가 요구하는 우수한 인재 양성이 인력 미스매치와 청년 취업난 해소에 기여하길 기대한다"며 "교육부는 사회맞춤형학과 활성화를 위해 가능한 모든 지원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