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한정보

조문 순서 및 예절

알 수 없는 사용자 2008. 10. 10. 01:37

[설명 및 동영상] 조문시 상가집 예절 알고 갑시다. - 클릭

조문
★부고(訃告)를 받았을 때

사람의 죽음을 알리는 통지가 부고다.
매우 바쁜 현대 생활속에 부고를 접하고 나면 간혹 조문을 망설이게 되는 경우도 많다.
예전에는 ''부고를 냈는데 조.문상을 오지 않거나 조장(弔狀)이라도 보내지 않은 사람은 상례후에도 대면을 하지 않는다''는 관습이 있었다.
그런 연유로 부고는 함부로 보내지 않고 꼭 보낼 곳에만 보냈다.
부고를 받았다면 평소 친밀하지 않은 관계라 해도 가급적 조문을 하는 것이 도리이다.
불가피하게 조문을 하지 못하게 될 경우에는 조장(弔狀)이나 조전(弔電)이라도 보내도록 한다.
물론 부고를 보내는 쪽에서도 조문객의 입장을 고려하여 신중하여야 할 것이다.

★조문 시간

아주 가까운 친구나 친지로부터 부고를 받을 경우 즉시 가서 도와주는 것이 좋다.
그외에 조문은 상가의 유족들이 성복을 끝내고 조문객을 맞을 준비가 된 후에 가는 것이 예의이다.
일반적으로 임종일 다음날 조문을 간다고 생각하면 된다.
스스럼없는 사이라면 염습이나 입관을 마친 때에도 괜찮다.
3일장이 보편화되면서 상가에서 미리 조문을 받는 경우도 흔히 있다.

★조문시 옷차림

◎ 남자
검정색 양복이 원칙이다.
미처 준비를 하지 못한 경우 감색이나 회색 양복도 무방하다.
와이셔츠는 반드시 흰색으로 하고 넥타이, 양말, 구두는 검정색으로 한다.
사정상 정장을 하지 못하고 평상복일 경우 단정한 복장을 하되 화려한 무늬의 원색 옷차림을 피하고 치장을 삼간다.

◎ 여자
검정색 상의에 검정색 스커트 차림이 가장 무난하다. 구두, 양말(스타킹)도 검정색이 좋다.
평상복일 경우 단색 계통이 무난하며 화려한 의상이나 몸에 꼭 맞는 옷은 삼간다.
화장도 연하게 하고 특히 핑크나 레드 색상의 짙은 입술화장은 좋지 않다.
귀걸이, 목걸이, 반지 등 액세서리도 가능하면 피하거나 눈에 띄지 않도록 한다.


★조문절차

조문을 가서는 풍습이나 종교가 다르더라도 가급적 해당 상가의 상례에 따르는 것이 예의이며 간혹 망인이 장수하시고 돌아가셨을 때 호상(好喪)이라하여 웃고 떠드는 일이 있으나 이는 옳지 않다.
① 상가(빈소)에 도착하면 문밖에서 외투나 모자 등을 미리 벗어 든다.
② 상제에게 가볍게 목례를 하고 영정 앞에 무릎을 꿇고 앉는다.
③ 분향 방법은
▶향나무를 깎은 나무향일 경우는
오른손으로 향을 집어 향로불 위에 놓는데 이 때 왼손 으로 오른손목을 바친다.
▶선향(線香.막대향)일 경우 하나나 둘을 집어 촛불에 불을 붙인 다음 손가락으로 가만히 잡아서 끄던가 왼손으로 가볍게 흔들어 끄고 절대 입으로 불면 안된다.
다음으로 두손으로 공손히 향로에 꽃는데 선향은 하나로 충분하나 여러 개일 경우 반 드시 하나씩 꽂아야 한다.
④ 영좌 앞에 일어서서 잠깐 묵념 후 두 번 절한다.
⑤ 영좌에서 물러나 상제에게 절한다. 이 때 상제도 같이 절한다.
종교에 따라 절을 하지 않 는 경우는 정중히 고개를 숙여 예를 표해도 된다.
⑥ 평소 안면이 있는 경우라면 상제에게 조문 인사말을 건네는데 이 때에는 낮은 목소리로 짧게 위로의 말을 하되 고인과 관련 이것 저것 질문을 하는 것은 좋지 않다.
⑦ 조문이 끝나고 물러나올 때에는 두세 걸음 뒤로 물러난 뒤, 몸을 돌려 나오는 것이 예의 이다.

★ 조문시 인사말

많은 사람들이 문상을 가서 어떤 인사말을 해야 할 지 머뭇거린다.
문상(問喪)이란 말은 상가에 가서 죽은 이에게 예를 올리고 유족을 위로하는 것으로 요즘에는 조상 (弔喪:죽은 이에게 예를 표함), 조문(弔問:상주에게 인사를 함) 등과 구분없이 같은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문상시에는 고인에게 재배하고 상주에게 절한 후 아무 말도 하지 않고 물러나오는 것이 일반적이며 전통적인 예의이기도 하다.
상을 당한 사람을 가장 극진히 위로해야 할 자리이지만 그 어떤 말도 상을 당한 사람에게는 위로가 될 수 없다는 뜻이며 오히려 아무 말도 하지 않는 것이 더 깊은 조의를 표하는 것이 된다.
마찬가지로 문상을 받는 상주 역시 말을 하지 않는 것을 모범으로 여기며, 더욱이 상주는 죄인이므로 말을 해서는 안된다는 것이 전통적인 관습이다.
그러나 실제 문상의 말은 문상객과 상주의 나이, 평소의 친소 관계등,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건네는 것이 합리적이다.
격식이나 형식을 차린 표현보다 따뜻하고 진지한 위로 한마디를 미리 문상전에 준비하는 것이 좋다.
상주도 ''고맙습니다'', ''뭐라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 등으로 문상에 대한 감사를 표한다.

★ 조의문(弔電. 弔狀)

부고를 받고서도 불가피하게 조문을 가지 못할 경우에는
조의문이라도 보내도록 한다.
잔치집 가는 것보다 초상집 가는 것을 즐겨 하라는 말도 있지만, 부고를 받고 조의문조차 보내지 않을 경우 예전에는 평생 말도 하지 않고 지낸다고 할 정도로 결례였다.
조의문은 발인 전에 도착하도록 해야 한다.
평소 친밀한 관계가 아니더라도 부고를 받았다면 최소한 조의문이라도 보내도록 주의한다.

★ 조의금(부의.賻儀)

조의금은 문상을 마친 후 물러 나와 호상소에 접수시키거나 부의함에 직접 넣는다.
상주에게 직접 건네는 것은 결례이다.
부의(賻儀)는 상부상조하는 우리 고유의 전통적인 미풍양속으로 형편에 맞게 성의를 표하되, 혹 여유가 있다 하여 과도한 금액의 부조를 하는 것도 옳지 않다.
봉투에는 일반적으로.. 부의(賻儀) 라 쓰거나 근조 (謹弔),조의(弔儀), 전의(奠儀) 등을 쓴다.

★ 조문시 삼갈 일

유족들은 정신적, 육체적으로 지쳐 있으므로 말을 많이 시키거나 고인에 대해 상세하게 묻지 않도록 한다.
상가에서 반가운 친구나 지인 등을 만났을 때 큰소리를 내지말고 조용히 밖에서 대화한 다.
궂은 일 등을 돕되 상례절차 등에 대해서는 간섭하지 않는다.
종교나 풍습의 차이가 있더라도 가급적 상가의 예에 따른다.





빈소에 들어서며 상주와 목례한 후 빈소안으로 들어가 친구들은 제사상앞 약2, 3미터
앞에 나란히 서고 대표 1명이 제사상앞의 향로앞으로 다가가서 향을 3개 피웁니다.
옛날에는 향나무를 연필 깍듯이 깍아서 만든 향을 썻는데 조금씩 세 번 향로에
넣었기 때문에 요즘에는 3개를 피워야 한다는 주장도 있고 1개만 피운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그리고 꽃은 송이 부분이 고인의 영정을 향하게 놓는것으로 압니다.
꽃을 올리는 사람은 대개 기독교신자들로서 꽃을 올린후 영좌에 절을 하지 않고
묵념(기도?)을 합니다.

3명 내지 4명이 동시에 갈껀데 모두 헌화하는겁니까? -- 전원 다 전통식으로
향을 피우고 절을 두번 하실 분들이면 꽃은 안올려도 됩니다.

그 다음에 대표 한명(나이가 많은사람)이 향을 피우는걸로 압니다.
-- 대표 한명이 향을 피운후 일동이 서있는 위치로 물러나 다 같이 고인께 두 번 큰절합니다.

저번에 장례식을 할때 보니 저희쪽에서는 향을 홀수로 1개 3개 등으로 피우던데.. 이렇게 하는게 맞는지요..? 지역마다 많이 틀려서 아리송하네요.
-- 위에서 설명 드림

그리고 물러슨 다음에 함께 큰절 두번과 허리숙여 반절합니다.
그리고 상주들과 맞절을 한 후 위로의 말을 합니다.
흉사이기 때문에 남자인 저는 오른손을 위에 포개고 발은 반대로 왼발이 위에 올라오게끔 하여 절을 합니다.
그 후로는 안내에 따라 움직입니다....
-- 맞습니다.

옷은 검은색 정장에 악세사리 없이 넥,양말,구두 검은색
흰색 셔츠를 입는게 정석이고
옷이 없거나 할때는 최대한 짙은색 옷... 튀지 않는 옷을 입는게 예의에 어긋나지 않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 맞습니다.

술잔을 드리는건 없습니까? 향을 왼쪽방향인가 먼가로 돌린다고 하던데 이건 무슨소리인지요?
-- 예전에는 술잔을 올렸으나 요즘에는 친척이거나 특별한 사이가 아니면 올리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 술잔을 올릴때 술을 채운 술잔을 향위에서 시계방향으로 3바퀴 돌리는 풍습이
있기도 한데, 하지않는 가문(지방)도 많으며 옛 예서에는 없는 방법이므로
하지않아야 한다는 주장이 많습니다.

조의금 등은 어떻게 해야할지 알려주십시오.
-- 봉투를 개인별로 각각 만드시는 방법과 일동이 같이 할수도 있습니다.
봉투 앞면 중간 약간 위에
賻(부)
儀(의) 라고 크게 쓰시고

뒷면 약간 아래 왼쪽에
작은 글씨로 님의 이름을 적습니다.
(일동이 같이 할 경우 3~4명 정도이면 봉투 뒷면에 3~4명의 이름을 적어도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