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한정보

우리나라의 전쟁역사

알 수 없는 사용자 2007. 11. 20. 13:39

1.우리나라의 시대별 전쟁


기원전 300년
고조선이 연나라의 진개(秦開)의 공격으로 서쪽 2천여 리의 땅을 상실하고 만번한(滿藩汗)을 경계로 함(진개의 고조선 침공)
*출전 : <<위략>>

기원전 109년
한나라 군대 5만여명이 조선을 공격하여 왕검성(王儉城)에서 패배함
*출전 : <<사기>>, <조선열전>

기원전 108년
한나라 군대에 왕검성(王儉城)이 함락되어 조선이 멸망함(고조선 멸망)
*출전 : <<사기>>, <조선열전>

기원전 16년
백제의 북부 국경을 침범한 말갈(靺鞨)을 온조왕(溫祚王)이 공격하여 격퇴시킴.
*출전 : <<삼국사기>>, <백제본기> 온조왕 3년 9월

기원전 11년
말갈(靺鞨)의 군대 3천 명이 백제 위례성(慰禮城)을 포위하였으나 실패함.

철수하는 말갈 군대를 대부현(大斧峴)에서 격파함.
*출전 : <<삼국사기>>, <백제본기> 온조왕 8년 2월

기원전 9년
고구려 유리왕(琉璃王)이 선비(鮮卑)를 쳐서 항복을 받고 복속시킴.
*출전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유리명왕 11년 4월

기원전 6년
부여왕 대소(帶素)가 군사 5만명을 거느리고 고구려를 침범하였으나 실패하고 철수함.
*출전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유리명왕 14년 11월

기원전 2년
낙랑이 백제를 침공하여 위례성(慰禮城)을 불태움.
*출전 : <<삼국사기>>, <백제본기> 온조왕 17년 봄.

4년 7월
낙랑의 군대가 신라를 침입하여 금성(金城)을 포위함.
*출전 : <<삼국사기>>, <신라본기> 남해 원년 7월

14년 8월
고구려가 양맥(梁貊)을 공격하여 멸망시키고, 이어서 한나라의 고구려현(高句麗縣)을 공격하여 탈취함.
*출전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유리명왕 33년 8월

14년
왜(倭)의 병선 1백여 척이 신라의 해안을 공격함. 낙랑이 이를 틈타 신라의 금성(金城)을 습격함.
*출전 : <<삼국사기>>, <신라본기> 남해 11년

22년 2월
고구려가 부여를 공격하여 국왕 대소(帶素)를 죽임
*출전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대무신왕 5년 2월

26년 10월
고구려 대무신왕(大武神王)이 개마국(蓋馬國)을 정벌하여 그 지역에 군현(郡縣)을 설치함
*출전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대무신왕 9년 10월

28년 7월
한나라의 요동(遼東) 태수(遼東太守)가 고구려를 공격하여 위나암성(尉那巖城)을 포위함
*출전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대무신왕 11년 7월

34년 9월
말갈이 마수성(馬首城)을 침공하여 함락시키고 10월에 병산책(甁山柵)을 습격함.
*출전 : <<삼국사기>>, <백제본기> 다루왕 7년 9월

36년 8월
낙랑의 군대가 신라의 북쪽 변경을 침범하여 타산성(朶山城)을 함락시킴.
*출전 : <<삼국사기>>, <신라본기> 유리 13년 8월

49년
봄에 고구려가 한나라의 북평(北平), 어양(漁陽), 상곡(上谷), 태원(太原) 등을 공격함.
*출전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모본왕 2년

77년 8월
신라의 아찬(阿湌) 길문(吉門)이 황산진(黃山津)에서 가야군을 격파함.
*출전 : <<삼국사기>>, <신라본기> 탈해 21년 8월

102년 8월
신라가 음즙벌국(音汁伐國), 실직국(悉直國), 압독국(押督國)을 공격하여 병합함.
*출전 : <<삼국사기>>, <신라본기> 파사 23년 8월

108년 5월
신라가 비지국(比只國), 다벌국(多伐國), 초팔국(草八國)을 정벌하여 병합함
*출전 : <<삼국사기>>, <신라본기> 파사 29년 5월

111년
부여왕 시(始)가 기병과 보병 7-8천 명을 거느리고 낙랑(樂浪)을 공격함
*출전 : <<후한서>>, <동이열전> 부여

115년 2월
가야가 신라의 남쪽 변경을 침략하자,

7월 신라왕이 가야를 공격하다가 황산하(黃山河)에서 가야의 복병에게 패함
*출전 : <<삼국사기>>, <신라본기> 지마 4년 2월

116년 8월
신라가 가야를 공격하였으나 실패함
*출전 : <<삼국사기>>, <신라본기> 지마 5년 8월

121년 4월
고구려가 선비(鮮卑)의 군대와 함께 요대현(遼隊縣)을 공격하고,

요동(遼東)태수 채풍(蔡諷)을 신창(新昌)에서 살해함
*출전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태조왕 69년 4월

121년 12월
고구려 태조왕이 마한(馬韓)과 예맥(濊貊)의 기병 1만여 명을 거느리고 현토성(玄菟城)을 공격하자

부여가 한나라가 합세하여 크게 패함
*출전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태조왕 69년 12월

125년 7월
신라가 말갈의 침입을 받아 백제에 구원을 청하자 백제 기루왕(己樓王)이 장군 5명을 보내 구원함
*출전 : <<삼국사기>>, <백제본기> 기루왕 49년 7월

146년 8월
고구려 태조왕이 한나라 요동(遼東)군 서안평현(西安平縣)을 습격하여 대방령(帶方令)을 죽이고

낙랑태수의 처자를 잡아옴
*출전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태조왕 94년 8월

167년 7월
백제가 신라의 서쪽 두 성을 공격하여 격파하고 주민 1천여 명을 사로잡음
*출전 : <<삼국사기>>, <신라본기> 아달라 14년 7월

185년 2월
신라의 파진찬 구도(仇道)와 일길찬 구수혜(仇須兮)가 좌우의 군주(軍主)가 되어

소문국(召文國)을 정벌함.
*출전 : <<삼국사기>>, <신라본기> 벌휴 2년 2월

212년
보라국(保羅國)과 고자국(古自國), 사물국(史勿國) 등 여덟 나라가 힘을 합하여

신라의 변경을 침입하자 태자 날음(捺音) 등이 격퇴함
*출전 : <<삼국유사>>권5, <피은>

214년 7월
백제가 신라의 요거성(腰車城)을 공격하여 성주 설부(薛夫)를 죽임.

이에 신라의 이벌찬 이음(利音)이 정병 6천명을 거느리고 백제의 사현성(沙峴城)을 격파함.
*출전 : <<삼국사기>>, <신라본기> 내해 19년 7월

216년 8월
말갈이 적현성(赤峴城)을 포위 공격하였으나 실패하고 퇴각함.

퇴각하는 말갈을 사도성(沙道城) 밖에서 격파함.
*출전 : <<삼국사기>>, <백제본기> 구수왕 3년 8월

231년 7월
이찬 우로(于老)를 대장군으로 삼아 감문국(甘文國)을 정벌하고 군현을 설치함
*출전 : <<삼국사기>>, <신라본기> 조분 2년 7월

242년
고구려가 요동(遼東)의 서안평(西安平)을 공격함
*출전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동천왕 16년

246년 8월
위나라의 관구검(毌丘儉)이 고구려를 침입하여 10월에 환도성(丸都城)이 점령됨(관구검의 고구려 침공)
*출전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동천왕 20년 8월

285년
선비의 모용외(慕容廆)가 부여를 공격하여 국왕 의려(依慮)가 자결하고

그 자제들은 옥저(沃沮)로 달아남
*출전 : <<진서>>, <동이열전> 부여

296년 5월
선비의 모용외(慕容廆)가 고구려를 공격하여 고국원(故國原)에 진출함.
*출전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봉상왕 5년 8월

302년 9월
고구려 미천왕(美川王)이 군사 3만 명을 거느리고 현토군(玄菟郡)을 공격하여 8천명을 사로잡음
*출전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미천왕 3년 9월

311년 8월
고구려가 요동(遼東)의 서안평(西安平)을 습격하여 빼앗음.
*출전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미천왕 12년 8월

313년 10월
고구려가 낙랑군(樂浪郡)을 침공하여 남녀 2천여 명을 사로잡음(고구려의 낙랑, 대방군 축출)
*출전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미천왕 14년 10월

314년 9월
고구려가 대방군(帶方郡)을 침공함.
*출전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미천왕 15년 9월

320년 12월
고구려가 군사를 보내어 요동(遼東)을 침공하였으나 모용인(慕容仁)이 대항하였으므로 패함
*출전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미천왕 21년 12월

339년 9월
연나라 국왕 모용황(慕容皝)이 고구려를 침입하여 신성(新城)에 도달함. 화의가 성립되어 철수함
*출전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고국원왕 9년 8월

342년 11월
연나라 군대 4만 명이 고구려를 침입하여 환도성(丸都城)이 함락됨(연나라의 고구려 침입)
*출전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고국원왕 12년 11월

345년 10월
연나라의 모용각(慕容恪)이 고구려의 남소(南蘇)를 공격하여 함락시킴
*출전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고국원왕 15년 10월

371년 10월
백제 근초고왕(近肖古王)이 군사 3만을 거느리고 평양성(平壤城)을 공격하여 고구려 고국원왕이 전사함.
*출전 : <<삼국사기>>, <백제본기> 근초고왕 26년 10월

377년 10월
백제가 군사 3만 명을 거느리고 평양성(平壤城)을 공격함.
*출전 : <<삼국사기>>, <백제본기> 근구수왕 3년 10월

385년 6월
고구려 고국양왕(故國壤王)이 후연(後燕)의 요동(遼東)과 현토(玄菟)를 함락시키고 남녀 1만 명을 사로잡음
*출전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고국양왕 2년 6월

392년 7월
고구려 광개토왕(廣開土王)이 군사 4만을 거느리고 백제 북쪽 변경을 공격하여

석현성(石峴城) 등 19여 성을 함락시킴(광개토왕의 정복사업)
*출전 : <<삼국사기>>, <백제본기> 진사왕 8년 7월

394년 8월
광개토왕(廣開土王)이 패수(浿水)에서 백제군 8천여 명을 격파함.
*출전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광개토왕 4년 8월

400년
광개토왕(廣開土王)이 군사 5만 명을 보내어 왜(倭)의 침입을 받은 신라를 구원함
*출전 : <<광개토대왕비>>

404년
대방(帶方) 지역을 침입한 왜의 군대를 고구려 군이 격파함.
*출전 : <<광개토대왕비>>

410년
고구려가 동부여(東扶餘)를 공격하여 64개 성을 점령함.
*출전 : <<광개토대왕비>>

468년 2월
고구려 장수왕이 말갈의 군사 1만을 동원하여 신라의 실직주성(悉直州城)을 점령함
*출전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장수왕 56년 2월

475년 9월
장수왕이 군사 3만을 거느리고 백제의 수도인 한성(漢城)을 공격하여 점령하고

백제 개로왕(蓋鹵王)을 죽임(고구려의 한강 유역 점령)
*출전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장수왕 63년 9월

494년 7월
신라의 장군 실죽(實竹)이 고구려군과 살수(薩水)의 들판에서 싸웠으나 이기지 못하고

견아성(犬牙城)에서 포위됨. 백제군의 지원으로 포위를 품
*출전 : <<삼국사기>>, <신라본기> 소지왕 16년 7월

501년 11월
백제 달솔 우영(優永)이 군사 5천 명을 거느리고 고구려의 수곡성(水谷城)을 습격함
*출전 : <<삼국사기>>, <백제본기> 무령왕 원년 11월

507년 10월
고구려군이 말갈군과 함께 백제의 한성(漢城)을 공격하였으나 백제군의 반격으로 퇴각함
*출전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문자명왕 16년 10월

512년 6월
신라가 이사부(異斯夫)를 보내어 우산국(于山國)을 정복함
*출전 : <<삼국사기>>, <신라본기> 지증왕 21년 5월

529년 10월
고구려 안장왕(安臧王)이 백제 북쪽 변경의 혈성(穴城)을 함락시킴
*출전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안장왕 11년 10월

551년 3월
신라 거칠부(居柒夫)가 고구려를 공격하여 10개 군을 함락시킴
*출전 : <<삼국사기>>, <신라본기> 진흥왕 12년 3월

551년 9월
돌궐(突厥)이 고구려의 신성(新城)을 포위하고 백암성(白巖城)을 침공하였으나 패배함
*출전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양원왕 7년 9월

553년 7월
신라가 백제의 동북 변경을 점령하여 신주(新州)를 설치함.

이후 나제동맹 파기됨(신라의 한경유역 점령)
*출전 : <<삼국사기>>, <신라본기> 진흥왕 14년 7월

554년 7월
백제 성왕(聖王)이 신라의 관산성(管山城)을 공격하다가 전사함
*출전 : <<삼국사기>>, <백제본기> 성왕 32년 7월

562년 9월
신라의 이사부(異斯夫)가 대가야(大伽倻)를 정벌함
*출전 : <<삼국사기>>, <신라본기> 진흥왕 23년 9월

598년 2월
고구려가 말갈병 1만 명으로 요서(遼西) 지방의 영주(營州)를 공격함
*출전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영양왕 9년 2월

598년 6월
수나라 문제(文帝)가 30만 대군을 동원하여 고구려를 공격하였으나 패배함(수나라의 1차 고구려 침공)
*출전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영양왕 9년 6월

603년 8월
고구려의 장군 고승(高勝)이 신라의 북한산성(北漢山城)을 공격하였으나 신라군의 반격으로 실패함
*출전 : <<삼국사기>>, <신라본기> 진평왕 25년 8월

612년 1월
수나라의 양제(煬帝)가 113만 군사를 동원하여 고구려 침공을 개시함
*출전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영양왕 23년 1월

612년 7월
수나라 우문술(宇文述)이 지휘하는 별동부대 30만 명이

평양성(平壤城)에서 철수하던 중 살수(薩水)에서 고구려 군의 반격으로 전멸함(살수대첩)
*출전 : <<삼국사기>>, <열전> 을지문덕

613년 4월
수나라 왕인공(王仁恭) 부대가 고구려의 신성(新城)을 포위 공격함
*출전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영양왕 24년 4월

629년 8월
신라가 고구려의 낭비성(娘臂城)을 공격하여 점령함
*출전 : <<삼국사기>>, <신라본기> 왕 년 월

631년 2월
고구려가 당나라의 침공에 대비하여

부여성(扶餘城)에서 비사성(比斯城)에 이르는 천리장성(千里長城) 축조에 착수함
*출전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영유왕 14년 2월

638년 10월
고구려가 신라의 칠중성(七重城)을 공격하였으나 11월에 알천(閼川)의 신라군에 패함
*출전 : <<삼국사기>>, <신라본기> 선덕여왕 7년 10월

642년 7월
백제의 의자왕(義慈王)이 군사를 거느리고 신라를 침공하여 40여 성을 점령함
*출전 : <<삼국사기>>, <백제본기> 의자왕 2년 7월

642년 8월
백제의 장군 윤충(允忠)이 군사 1만을 거느리고 신라의 대야성(大耶城)을 공격하여 점령하고

성주인 도독 품석(品釋)을 죽임
*출전 : <<삼국사기>>, <백제본기> 의자왕 2년 8월

644년 7월
당나라 태종(太宗)이 영주도독 장검(張儉)을 보내어 유주(幽州),

영주(營州)의 군사와 거란, 해(奚), 말갈군을 거느리고 요동(遼東)을 공격하게 함
*출전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보장왕 3년 7월

645년 4월
당나라 대군이 요수(遼水)를 건너 고구려를 침입하여 신성(新城)을 포위하고 개모성(盖牟城)을 함락함
*출전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보장왕 4년 4월

645년 5월
당나라 군이 요동성(遼東城)을 공격하여 점령함.

고구려 군사 1만여 명과 주민 4만여 명이 포로가 됨.
*출전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보장왕 4년 5월

645년 8월
당나라 군이 안시성(安市城)을 60여일 간 포위 공격하였으나 실패하고 철수함. (안시성전투)
*출전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보장왕 4년 8월

647년 7월
당나라의 우진달(牛進達)이 거느린 수로군(水路軍)이 고구려의 석성(石城)을 공격하여 점령함
*출전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보장왕 6년 7월

647년 10월
백제군이 신라의 무산(茂山), 감물(甘勿), 동잠(桐岑)의 세 성을 공격하였으나

김유신(金庾信)의 반격으로 실패함
*출전 : <<삼국사기>>, <신라본기> 진덕여왕 원년 10월

648년 9월
장군 설만철(薛萬徹)이 이끈 당나라군이 압록강 어귀의 박작성(泊灼城)을 포위 공격하였으나 실패함
*출전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보장왕 7년 9월

655년 1월
고구려가 백제와 말갈의 군사와 연합하여 신라의 북쪽 변경을 침입하여 33개의 성을 빼앗음
*출전 : <<삼국사기>>, <신라본기> 대종무열왕 2년 1월

660년 7월
나당연합군이 황산(黃山)과 웅진(熊津)에서 백제군을 물리치고 사비성을 점령함.

18일 웅진성(熊津城)으로 피난한 의자왕이 항복함으로써 백제멸망
*출전 : <<삼국사기>>, <백제본기> 의자왕 20년 6월

661년 1월
복신(福信), 도침(道琛), 흑치상지(黑齒常之) 등이 일본에 있던 왕자 부여풍(扶餘豊)을 맞이하여

주류성(周留城)을 거점으로 백제 부흥군을 일으킴
*출전 : <<삼국사기>>, <백제본기> 의자왕 20년 6월

661년 2월
백제 부흥군이 사비성(泗沘城)을 공격함. 신라 무열왕이 이찬 품일(品日)을 보내어 구원하게 함
*출전 : <<삼국사기>>, <신라본기> 태종무열왕 8년 2월

661년 8월
당나라 소정방(蘇定方)이 패강(浿江)에서 고구려 군을 격파하고 평양성(平壤城)을 포위함
*출전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보방왕 20년 8월

663년 5월
나당연합군이 백제 부흥군의 주 근거지의 하나인 주류성(周留城)을 함락시킴(백제부흥운동)
*출전 : <<삼국사기>>, <신라본기> 문무왕 3년 5월

664년 3월
백제 유민이 사비성(泗沘城)을 근거로 부흥운동을 전개하였으나 웅주도독(熊州都督)의 군사에 패배함
*출전 : <<삼국사기>>, <신라본기> 문무왕 4년 2월

667년 9월
이적(李勣)이 이끈 당나라 군이 고구려의 신성(新城)을 점령하고 이어서 16개 성을 점령함
*출전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보장왕 26년 9월

668년 2월
이적(李勣)이 이끈 당나라군이 고구려 부여성(扶餘城)을 함락하고 주변의 40여 성을 항복받음.

고구려군 5만 명이 부여성을 구원하고자 출동하였으나 당나라군에 패하고 물러남
*출전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보장왕 27년 2월

668년 9월
나당연합군이 평양성(平壤城)을 포위하자 보장왕이 항복함. (고구려 멸망)
*출전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보장왕 27년 9월

670년 4월 4일
신라의 사찬 설오유(薛烏儒)와 고구려의 고연무(高延武)가 각각 1만명을 거느리고

압록강을 건너 당나라 말갈 군사를 격파함
*출전 : <<삼국사기>>, <신라본기> 문무왕 10년 4월

670년 7월
신라군이 당나라의 웅진도독부 관할하의 백제 지역을 공격하여 80여 성을 점령함
*출전 : <<삼국사기>>, <신라본기> 문무왕 10년 7월

673년 9월
신라군이 신라의 북쪽 경계를 침범한 당나라, 거란, 말갈군과 9차례 전투를 벌여 승리함.

그해 겨울에 당나라 군이 고구려 부흥군의 근거지인 우잠성(牛岑城) 등을 점령함
*출전 : <<삼국사기>>, <신라본기> 문무왕 13년 9월

675년 9월
당나라군이 아달성(阿達城), 칠중성(七重城), 석현성(石峴城)을 공격함.

신라군이 18회의 전투에서 승리하여 6천여 명의 당나라군을 죽임
*출전 : <<삼국사기>>, <신라본기> 문무왕 15년 9월

675년 9월 29일
신라군이 매초성(買肖城)에 주둔한 이근행(李謹行)의 20만 당나라군을 대파함(매초성전투)
*출전 : <<삼국사기>>, <신라본기> 문무왕 15년 9월

676년 11월
사찬 시득(施得)이 거느린 신라 수군이 금강하구 기벌포(伎伐浦)에서

설인귀(薛仁貴)의 당나라군을 격파함(기벌포전투)
*출전 : <<삼국사기>>, <신라본기> 왕 년 월

696년
고구려 유민 대조영(大祚榮)이 천문령(天門嶺)에서

이해고(李楷固)의 당나라군을 격파함. (천문령 전투)
*출전 : <<신당서>>, <북적열전> 발해

731년 4월
일본의 병선 3백 척이 신라의 동쪽 변경을 침입하였으므로 이를 격파함
*출전 : <<삼국사기>>, <신라본기> 성덕왕 30년 4월

732년
발해 무왕이 장문휴(張文休)가 이끈 수군을 보내어

당나라의 등주(登州)를 공격하여 자사 위준(韋俊)을 죽임(등주 공격)
*출전 : <<구당서>>, <북적열전> 발해말갈

733년 7월
당나라의 요청으로 발해 공격을 위해

김사란(金思蘭)이 이끈 신라군이 출동하였으나 눈이 많이 와서 철수함.
*출전 : <<삼국사기>>, <신라본기> 성덕왕 32년 7월

768년 7월
일길찬 대공(大恭)과 아찬 대렴(大廉)이 반란을 일으켜 33일간 왕궁을 포위하였으나 평정됨.
*출전 : <<삼국사기>>, <신라본기> 혜공왕 4년 7월

822년 3월
웅천주 도독 김헌창(金憲昌)이 반란을 일으켜

국호를 장안(長安), 연호를 경운(慶雲)이라 함 (김헌창의 난)
*출전 : <<삼국사기>>, <신라본기> 헌덕왕 14년 3월

828년 4월
장보고(張保皐)가 군사 1만명을 받고 완도 청해진(淸海鎭)의 대사로 임명됨.
*출전 : <<삼국사기>>, <신라본기> 흥덕왕 3년 4월

838년 2월
김양(金陽)이 청해진 대사 장보고(張保皐)와 함께 김우징(金祐徵)을 받들어 반란을 일으킴(신무왕)
*출전 : <<삼국사기>>, <신라본기> 민애왕 원년 2월

839년 윤1월 19일
김양(金陽)이 이끈 군사가 달구벌(達丘伐)에서 김흔(金昕)이 이끈 관군을 격파하고,

도망한 국왕을 죽임
*출전 : <<삼국사기>>, <열전> 김양

889년
국내의 여러 주군에서 반란이 일어남.

원종(元宗)과 애노(哀奴)가 사벌주(沙伐州)에서 반란을 일으킴.
*출전 : <<삼국사기>>, <신라본기> 진성여왕 3년

891년 10월
북원(北原)의 양길(梁吉)이 부하 궁예(弓裔)를 보내어 주변 10여 군현을 습격하게 함
*출전 : <<삼국사기>>, <신라본기> 진성여왕 5년 10월

892년
완산(完山)의 견훤(甄萱)이 반란을 일으켜 후백제를 세우니 무주(武州) 주변 군현들이 항복함.
*출전 : <<삼국사기>>, <신라본기> 진성여왕 6년

895년
궁예(弓裔)가 저족(猪足), 성천(狌川), 부약(夫若), 금성(金城), 철원(鐵圓) 등 10여 군현을 격파하고

임금을 자칭함.
*출전 : <<삼국사기>>, <열전> 궁예

898년 7월
궁예(弓裔)가 패서도(浿西道)와 한산주(漢山州) 관내 30여 성을 빼앗고

송악군(松岳郡)에 도읍을 정함.
*출전 : <<삼국사기>>, <신라본기> 효공왕 2년 7월

899년
궁예(弓裔)가 왕건(王建)에게 명하여

광주(廣州), 충주(忠州), 당성(唐城), 청주(淸州), 괴양(槐壤) 등을 공격하여 평정하게 함.
*출전 : <<삼국사기>>, <열전> 궁예

904년 7월
궁예(弓裔)가 상주(尙州) 등 30여 주현을 공격하여 빼앗음.
*출전 : <<삼국사기>>, <열전> 궁예

907년
견훤(甄萱)이 신라의 일선군(一善郡) 이남 10여 성을 빼앗음
*출전 : <<삼국사기>>, <신라본기> 효공왕 11년

919년 1월
6위(六衛)를 설치함. (2군6위(二軍六衛))
*출전 : <<고려사>>, <병지1>, 병제

920년 10월
견훤(甄萱)이 대야성(大耶城)을 함락시키고 진례성(進禮城)으로 진격함.
*출전 : <<삼국사기>>, <신라본기> 경명왕 4년 10월

925년 10월
태조와 견훤(甄萱)이 조물성(曹物城)에서 대전함.
*출전 : <<삼국사기>>, <열전> 견훤

927년 9월
견훤(甄萱)이 신라의 경주를 공격하여 경애왕(景哀王)을 죽임.
*출전 : <<삼국사기>>, <신라본기> 경애왕 4년 10월

930년 1월
태조가 고창군(古昌郡) 병산(甁山)에서 견훤(甄萱)과 싸워 크게 승리하고

견훤(甄萱) 지배하의 30여 군현을 항복받음.
*출전 : <<삼국사기>>, <신라본기> 경순왕 4년 1월

936년 9월
태조가 일리천(一善)에서 후백제 신검(神劍)의 군사를 격파하고 후삼국을 통일함(일리천 전투)
*출전 : <<삼국사기>>, <열전> 견훤
*연표>주제 : 전쟁연표>전투
945년 9월
왕규(王規)가 반란을 일으키자 서경(西京)의 대광(大匡) 왕식렴(王式廉)이 이를 진압함
*출전 : <<고려사절요>> 권2

993년 윤10월
제1차 거란 침입. 서희(徐熙)가 거란 장수 소손녕(蕭孫寧)과 담판하여 화약(和約) 체결.
*출전 : <<고려사>>, <세가3>

994년
서희(徐熙)가 여진족을 축출하고 장흥진(長興鎭), 흥화진(興化鎭), 곽주(郭州), 구주(龜州)에 축성함.
*출전 : <<고려사절요>> 권2

1010년 11월
거란 왕이 군사 40만을 이끌고 고려 침입. 제2차 거란 침입. 강조(康兆)가 패배하고 죽임을 당함.
*출전 : <<고려사>>, <세가>, 현종 원년 11월

1012년 5월
동여진이 청하현(淸河縣), 영일현(迎日縣), 장기현(長鬐縣)에 침입하여 강민첨(姜民瞻) 등이 격퇴함
*출전 : <<고려사>>, <세가>, 현종 3년 5월

1014년 10월
거란군이 통주(通州)와 흥화진(興化鎭)을 침입하여 장군 정신용(鄭神勇) 등이 격퇴함.
*출전 : <<고려사>>, <세가>, 현종 5년 10월

1018년 12월
거란의 소손녕(蕭遜寧)이 군사 10만으로 고려 침입. 제3차 거란 침입.

강감찬(姜邯贊)을 상원수로, 강민첨(姜民瞻)을 부원수로 임명하여 막게 함.
*출전 : <<고려사>>, <세가>, 현종 9년 12월

1019년 2월
강감찬(姜邯贊)이 거란군을 귀주(龜州)에서 대파함. (귀주대첩)
*출전 : <<고려사>>, <세가>, 현종 10년 2월

1033년 8월
북쪽 국경 일대에 천리장성(千里長城) 축조를 시작함
*출전 : <<고려사>>, <병지2>, 성지

1080년 12월
동번(東蕃)이 난을 일으켰으므로 보병과 기병 3만 명을 정주(定州)로 보내어 토벌함.
*출전 : <<고려사절요>>권5, 문종 34년 12월

1104년 12월
윤관(尹瓘)의 건의로

신기군(神騎軍), 신보군(神步軍), 항마군(降魔軍)으로 편성된 별무반(別武班)을 창설함.
*출전 : <<고려사>>, <병지1>, 병제

1107년 12월
윤관(尹瓘)이 지휘하는 17만 여진 정벌군이 135개 촌락을 격파하고 적병 3,740명을 참살함.
*출전 : <<고려사절요>>권7, 예종 2년 12월

1108년 3월
윤관(尹瓘)이 여진을 평정한 지역에 9개소의 성을 축성함
*출전 : <<고려사절요>>권7, 예종 3년 3월

1109년 7월
여진족의 간청으로 9성을 여진족에게 돌려줌
*출전 : <<고려사절요>>권7, 예종 4년 7월

1135년 1월 4일
묘청(妙淸) 등이 서경(西京)에서 반란을 일으킴.

국호를 대위(大爲), 연호를 천개(天開)로 정함 김부식(金富軾)을 원수로 삼아 토벌하게 함. (묘청의 난)
*출전 : <<고려사절요>> 권10, 인종 13년 1월

1149년 8월
군제를 개편하여 5군을 3군으로 고침.
*출전 : <<고려사>>, <병지1>, 병제

1174년 9월 25일
조위총(趙位寵)이 서경(西京)에서 반란을 일으켜 절령(岊嶺) 이북 40여 성이 호응함
*출전 : <<고려사절요>>권12, 명종 4년 9월

1216년 8월
수만 명의 거란 유민들이 고려에 침입하여 영
주(寧州), 삭주(朔州) 등을 공격함.

김취려(金就礪) 등을 보내어 거란을 막게 함.
*출전 : <<고려사절요>>권14, 고종 3년 8월

1219년 1월
고려, 몽고, 동진 연합군이 강동성(江東城)을 함락시키고 농성 중인 거란 유민을 섬멸함. (강동성 전투)
*출전 : <<고려사절요>>권15, 고종 6년 1월

1231년 8월 10일
몽고 원수 살리타이(撒禮塔)이 고려에 침입하여 함신진(咸新鎭)을 공격함.

다음날 함신진의 고려군 항복. 몽고 1차 침입
*출전 : <<고려사>>, <세가>, 고종 18년 8월

1231년 9월 3일
몽고군이 귀주성(龜州城)을 공격하였으나 함락에 실패함.

이듬해 1월까지 수 차례 공격하였으나 실패함. (귀주성 전투)
*출전 : 국방군사연구소, <<한민족전쟁통사2>>, 1993, 212-221쪽.

1232년 12월 16일
처인성(處仁城)에서 승장(僧將) 김윤후(金允候)가 지휘하는 고려군이 몽고군을 공격하여

몽고 원수 살리타이(撒禮塔)를 사살함.
*출전 : <<고려사>>권103, <열전>, 김윤후

1235년 윤7월
몽고 원수 탕꾸(唐古)가 지휘하는 몽고군이 고려를 침입함. 몽고 2차 침입
*출전 : 국방군사연구소, <<한민족전쟁통사2>>, 1993, 248쪽.

1253년 7월
예꾸(也窟)이 지휘하는 몽고군이 고려 침입. 주민들을 산성과 섬으로 대피시킴.
*출전 : <<고려사>>권24, <세가> 고종 24년 7월

1253년 10월
방호별감(防護別監) 김윤후(金允候)가 지휘하는 고려군이

충주성(忠州城)을 공격한 몽고군을 12월 중순까지 70여일 동안 방어함.
*출전 : <<고려사>>권103, <열전> 김윤후

1259년 4월
고려 태자의 입조(入朝)를 조건으로 몽고와 강화 성립. 몽고군 철수
*출전 : <<고려사>>권24, <세가> 고종 46년 4월

1270년 6월 1일
장군 배중손(裵仲孫), 노영희(盧永禧) 등이 강화(江華)에서 삼별초(三別抄)를 이끌고 봉기함.

승화후(承化侯) 왕온(王溫)을 왕을 삼음. (삼별초의 항쟁)
*출전 : <<고려사절요>>권18, 원종 11년 6월



1270년 8월
삼별초(三別抄) 군이 진도(珍島)로 들어가 근거지로 삼음.
*출전 : <<고려사절요>>권18, 원종 11년 8월

1270년 11월
삼별초(三別抄) 군이 탐라(耽羅)를 공격하여 함락시킴.
*출전 : <<고려사절요>>권18, 원종 11년 11월

1271년 5월 15일
고려와 몽고 연합군이 삼별초(三別抄) 군의 근거지인 진도(珍島) 용장성(龍藏城)를 함락시킴.

배중손(裵仲孫), 노영희(盧永禧) 등 전사.
*출전 : <<고려사절요>>권18, 원종 12년 5월

1273년 4월
김방경(金方慶) 등이 이끄는 고려와 몽고 연합군이

삼별초(三別抄) 최후의 근거지인 탐라성(耽羅城)를 함락함. 대장 김통정(金通精) 자결
*출전 : <<고려사절요>>권19, 원종 14년 4월

1274년 10월
고려와 몽고 연합군 3만 여명이 일본 원정. 일기도(一岐島)에 상륙하였으나 폭풍으로 실패함.
*출전 : <<고려사절요>>권19, 원종 15년 10월

1281년 5월
김방경(金方慶), 흔도(忻都), 홍다구(洪茶丘) 등이 일본 정벌 출발
*출전 : <<고려사절요>>권19, 충렬왕 6년 5월

1281년 6월
고려, 몽고군이 일본군과의 전투에서 패배하고, 태풍으로 큰 피해를 입음
*출전 : <<고려사절요>>권19, 충렬왕 6년 6월

1290년 5월
원나라의 반란군인 합단(哈丹)의 군사가 해양(海陽)에 침입. (합단의 침입)
*출전 : <<고려사절요>>권21, 충렬왕 16년 5월

1354년 7월
원나라의 요청으로 한족(漢族) 부흥 세력인 장사성(張士誠) 토벌을 위해

유탁(柳濯) 등 장수 40명과 군사 2000여명을 파병함.
*출전 : <<고려사절요>>권26, 공민왕 3년 7월

1356년 7월
쌍성총관부(雙城摠管府)를 함락하여 함주(咸州) 이북의 영토를 99년만에 수복함.
*출전 : <<고려사절요>>권26, 공민왕 5년 7월

1359년 12월
홍두적(紅頭賊) 4만명이 고려를 침공하여 의주(義州), 서경(西京) 등을 점령함. (제1차 홍건적의 침입)
*출전 : <<고려사절요>>권27, 공민왕 8년 12월

1361년 10월
반성(潘誠), 사유(沙劉) 등이 지휘하는 홍두적(紅頭賊) 10만여 명이 고려를 침공. (제2차 홍건적의 침입)
*출전 : <<고려사절요>>권27, 공민왕 10년 10월

1361년 11월
홍두적(紅頭賊)이 절령(岊嶺)의 책문(柵門)에서 고려군을 격파하고 개경(開京)을 점령함.

국왕은 복주(福州)로 피난함(12월)
*출전 : <<고려사절요>>권27, 공민왕 10년 11월

1362년 1월 18일
정세운(鄭世雲)이 지휘하는 20만 고려군이 개경(開京)을 탈환함.

10만 명의 홍두적이 사살되고 잔존 군사들은 요동(遼東)으로 완전히 퇴각함.
*출전 : <<고려사절요>>권27, 공민왕 11년 01월

1364년 1월
여진족인 삼선(三善)과 삼개(三介) 등이 여진족을 이끌고 함주(咸州)를 점렴함.

이성계(李成桂)의 반격으로 격퇴
*출전 : <<고려사절요>>권28, 공민왕 13년 1월

1370년 11월
지용수(池龍壽), 이성계(李成桂) 등이 만주의 동녕부(東寧府)를 점령함. (동녕부 정벌)
*출전 : <<고려사절요>>권29, 공민왕 19년 11월

1374년 8월
최영(崔塋)이 제주(濟州)의 목호(牧胡)들이 일으킨 난을 평정함. (목호(牧胡)의 난)
*출전 : <<고려사절요>>권29, 공민왕 23년 8월

1376년 7월
최영(崔塋)이 홍산(鴻山)에서 왜구를 대파함. (홍산대첩)
*출전 : <<고려사절요>>권30, 신우 2년 7월

1380년 8월
나세(羅世), 최무선(崔茂宣) 등이 이끈 고려 수군이 진포(鎭浦)에서 화약 무기를 사용하여

왜구의 전선 500척을 격파함.
*출전 : <<고려사절요>>권31, 신우 6년 8월

1380년 9월
이성계(李成桂)가 이끈 고려군이 황산(荒山)에서 왜구를 대파함. (황산대첩)
*출전 : <<고려사절요>>권31, 신우 6년 9월

1383년 5월
남해현(南海縣)에 침입한 왜구 선단을 정지(鄭地)가 관음포(觀音浦)에서 화포 공격으로 격파함.

관음포 전투
*출전 : <<고려사절요>>권32, 신우 9년 5월

1383년 8월
여진족인 호발도(胡拔都)가 단주(端州)를 침입하자 이성계(李成桂)가 격퇴함.
*출전 : <<고려사절요>>권32, 신우 9년 8월

1388년 4월 18일
이성계(李成桂), 조민수(曹敏修)가 지휘하는 요동(遼東) 정벌군이 출정함. (요동정벌)
*출전 : <<고려사절요>>권33, 신우 14년 4월

1389년 2월
경상도원수(慶尙道元帥) 박위(朴葳)가 대마도(對馬島)에 있는 왜구 근거지를 정벌함.
*출전 : <<고려사>>권137, <세가> 공양왕 원년 2월

1396년 12월 3일
김사형(金士衡)을 오도병마도통처치사(五道兵馬都統處置使)로 삼아

일기도(一歧島)와 대마도(對馬島)를 정벌함
*출전 : <<조선왕조실록>>

1419년 6월 17일
삼군도체찰사(三軍都體察使) 이종무(李從茂)가 이끄는 병선 227척, 조선군 17,000여명이

대마도 정벌을 위해 거제도 출항. (대마도정벌)
*출전 : <<조선왕조실록>>

1433년 5월 7일
평안도 도절제사 최윤덕(崔潤德)이

평안도와 황해도 군사를 이끌고 파저강(婆猪江) 일대의 여진족 이만주(李滿住)를 토벌함.
*출전 : <<조선왕조실록>>

1460년 1월 28일
여진족 아비거(阿比車)가 1,500명을 이끌고 회령(會寧)에 침입하였다가

함길도 도절제사 양정(楊汀)의 반격으로 패주함.
*출전 : <<조선왕조실록>>

1467년 5월 16일
전 회령절제사 이시애(李施愛)가 길주(吉州)에서

절도사 강효문(康孝文) 등을 죽이고 난을 일으켜 함길도 전역으로 확산됨. (이시애의 난)
*출전 : <<조선왕조실록>>

1510년 4월
삼포(三浦)에 거주하던 왜인들이 난을 일으켜 부산포(釜山浦)와 제포(薺浦)를 점령함. (삼포왜란)
*출전 : <<중종실록>>권11, 중종 5년 4월 8일

1554년 4월 12일
고성(固城) 사량진(蛇梁鎭)에 왜구가 침입하여 성을 공격하였으나 실패하고 물러감. (사량진왜변)
*출전 : <<조선왕조실록>>

1555년 5월 11일
왜구 선단 60여 척이 달량성(達梁城)을 공격하여 함락함.

이후 영암(靈巖) 등을 공격함. (을묘왜변(乙卯倭變))
*출전 : <<조선왕조실록>>

1592년 4월 13일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의 일본군 제1군이 절영도(絶影島)에 상륙. 임진왜란 시작.
*출전 : 이이화, <<조선과 일본의 7년 전쟁>>, 한길사, 1999, 124쪽

1592년 4월 14일
일본군이 부산진성을 공격하여 첨사 정발(鄭撥)이 전사하고 방어군 천여 명 전사함.
*출전 : <<임진왜란사>>,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1987, 33쪽

1592년 4월 15일
동래성이 함락되고 부사 송상현(宋象賢), 양산 군수 조영규(趙英珪) 등이 전사
*출전 : <<임진왜란사>>,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1987, 35-38쪽

1592년 4월 25일
상주(尙州)에서 순변사 이일(李鎰)이 패배하여 충주(忠州)로 철수.
*출전 : <<임진왜란사>>,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1987, 45-47쪽

1592년 4월 28일
충주(忠州) 탄금대에서 삼도순변사 신립(申砬)이 이끄는 부대가 패배하고

신립, 종사관 김여물(金汝岉)등 전사(탄금대전투)
*출전 : 이이화, <<조선과 일본의 7년 전쟁>>, 한길사, 1999, 137-141쪽

1592년 5월
부원수 신각(申恪)이 양주의 해유령(蟹踰嶺)에서 일본군을 격파하고 60여명의 목을 벰.
*출전 : <<장바록>>

1592년 5월 7일
전라좌수사 이순신(李舜臣) 함대가 옥포(玉浦) 앞바다에서 일본 함선 26척을 격파하고,

이어서 합포(合浦)의 일본 함선 5척을 격파함.
*출전 : <<임진왜란사>>,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1987, 121-122쪽

1592년 5월 8일
전라좌수사 이순신(李舜臣) 함대가 적진포(赤珍浦)에 정박 중인 일본 함선 11척을 격파함
*출전 : <<임진왜란사>>,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1987, 122-123쪽

1592년 5월 17일
임진강 방어선의 붕괴. 조방장 유극량(劉克亮) 전사.
*출전 : <<임진왜란사>>,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1987, 60~63쪽

1592년 5월 25일
의병장 곽재우(郭再祐)의 의병 부대가

정암진(鼎岩津)을 도하하는 안코쿠지 에케이(安國寺惠瓊) 휘하의 일본군을 공격하여

함안 방면으로 격퇴시킴.
*출전 : <<임진왜란사>>,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1987, 98-99쪽

1592년 5월 29일
전라좌수사 이순신(李舜臣) 함대가 사천(泗川) 앞바다에서 일본 함대 13척을 격파함.

새로 건조한 장갑선인 거북선(龜船)이 최초로 실전에서 사용됨. 일본군의 총탄에 이순신 부상.
*출전 : <<임진왜란사>>,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1987, 125-126쪽

1592년 6월 2일
전라좌수사 이순신(李舜臣) 함대가

미륵도(彌勒島)의 당포(唐浦)에 정박 중인 일본 함대를 공격하여 21척 모두를 격파함
*출전 : <<임진왜란사>>,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1987, 126-128쪽

1592년 6월 5일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 3도 관찰사가 거느린 근왕병이

용인(龍仁) 문소산(文小山)에서 와키사카 사헤이(脇坂左兵衛)의 일본군에게 패배.

선봉장 백광언(白光彦), 이시지(李時之) 전사.
*출전 : 이이화, <<조선과 일본의 7년 전쟁>>, 한길사, 1999, 202-204쪽

1592년 6월 5일
전라좌수사 이순신(李舜臣), 전라우수사 이억기(李億祺), 경상우수사 원균(元均)이 지휘하는

연합 함대가 고성(固城) 당항포(唐項浦)에서 일본 함대 26척을 격침시킴.
*출전 : <<임진왜란사>>,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1987, 128-129쪽

1592년 6월 5일
고령(高靈) 의병장 정인홍(鄭仁弘) 부대가

낙동강변의 무계(茂溪)에 주둔하고 있던 일본군을 밤에 기습함
*출전 : <<임진왜란사>>,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1987, 101-102쪽

1592년 6월 15일
평양성(平壤城) 함락. 선조 의주(義州)로 피난
*출전 : <<임진왜란사>>,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1987, 65-68쪽

1592년 7월 7일
진안의 웅치(熊峙)에서 나주 판관 이복남(李福男)이

전주(全州)로 침입하려는 안코쿠지 에케이(安國寺惠瓊)의 일본군을 맞아 방어하였으나 실패하고

김제 군수 정담(鄭湛) 전사.
*출전 : 이이화, <<조선과 일본의 7년 전쟁>>, 한길사, 1999, 207-209쪽

1592년 7월 8일
이치(梨峙)에서 광주 목사 권율(權栗)이

고바야카와 다카카게(小早川隆景)의 일본군을 맞아 격퇴함.

이치 전투로 일본군의 전라도 석권을 저지함.
*출전 : 이이화, <<조선과 일본의 7년 전쟁>>, 한길사, 1999, 209-211쪽

1592년 7월 8일
이순신(李舜臣), 이억기(李億祺), 원균(元均)의 조선 함대 72척이 한산도 견내량(見乃梁)에서

와키사카 야스하루(脇坂安治)가 이끄는 일본 함대 66척을 격침시킴.
*출전 : 이이화, <<조선과 일본의 7년 전쟁>>, 한길사, 1999, 211-213쪽

1592년 10월 5일
진주 목사 김시민(金時敏)이 6일 동안 진주성을 공격하는 일본군을 방어하여 격퇴하고 전사.

이 전투는 임진왜란 3대첩의 하나.
*출전 : 이이화, <<조선과 일본의 7년 전쟁>>, 한길사, 1999, 255-258쪽

1593년 1월 6일
이여송(李如松)의 명나라 군과 김명원(金明元) 휘하의 조선군 연합군이

평양성(平壤城)의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의 일본군을 공격하여 평양 탈환.
*출전 : <<임진왜란사>>,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1987, 148-151쪽

1593년 2월 12일
전라 감사 권율(權慄)이 거느린 2,300명이 행주산성(幸州山城)에서 3만 여명의 일본군을 대파함.

이 전투에서 변이중(邊以仲)이 제작한 화차(火車)가 큰 역할을 함.
*출전 : <<임진왜란사>>,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1987, 161-165쪽

1597년 7월 8일
일본군의 침공군 주력이 6백여 척의 선단에 의하여 경상도 남해안 일대에 상륙. 정유재란 발발
*출전 : <<임진왜란사>>,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1987, 218쪽

1597년 7월 15일
삼도수군통제사 원균(元均)이 거느린 조선 수군이 칠천량(漆川梁)에서

일본 수군의 기습으로 패배하고 원균, 이억기(李億祺) 등 전사. (칠천량 해전)
*출전 : <<임진왜란사>>,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1987, 237-239쪽

1597년 9월 7일
경기도 직산(稷山)에서 부총병 해생(解生)이 지휘하는 명나라군이

구로다 나가마사(黑田長政)의 일본군 우군을 격파함. 일본군의 북상 좌절. (직산 전투)
*출전 : <<임진왜란사>>,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1987, 233쪽

1597년 9월 16일
명량(鳴梁) 수로에서 이순신(李舜臣) 함대 12척이 일본 함대 130여 척을 격파.

전라도 해안의 제해권 회복.
*출전 : <<임진왜란사>>,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1987, 241-243쪽

1598년 11월 19일
통제사 이순신(李舜臣)의 조선 수군과 진린(陳璘)의 명나라 수군 연합 함대가

노량(露梁) 앞 바다에서 일본군 선단을 공격하여 2백여 척을 격파함. 이순신은 일본군의 유탄에 전사.
*출전 : <<임진왜란사>>,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1987, 263-267쪽

1624년 1월 22일
평안 병사 겸 부원수인 이괄(李适)이 안주(安州)에서 반란을 일으킴. (이괄의 난)
*출전 : <<조선왕조실록>>

1627년 1월 13일
후금군 3만 명이 압록강을 도하하여 의주(義州)성 포위. 정묘호란(丁卯胡亂) 발발.

14일 의주성 함락.
*출전 : <<조선왕조실록>>

1636년 12월 8일
청나라 선봉군이 압록강을 도하하여 의주(義州) 점령. 병자호란 발발.
*출전 : <<조선왕조실록>>

1654년 7월 2일
변급(邊岌)이 지휘하는 조선군이 흑룡강에서 러시아군을 격파하고 귀국. (제1차 나선정벌(羅禪征伐))
*출전 : <<조선왕조실록>>

1658년 6월 10일
경상북도 병마우후 신유가 지휘하는 조선군이 청군과 흑룡강 어귀에서 러시아군 격파. (제2차 나선정벌)
*출전 : 박태근, 〈조선군의 흑룡강출병〉, <<한국사론>>9, 국사편찬위원회, 1981, 250쪽

1811년 12월 18일
홍경래(洪景來)가 평안도에서 반란을 일으켜

가산(嘉山), 정주(定州) 등 여러 군현을 점령함. (홍경래의 난)
*출전 : <<조선왕조실록>>

1866년 7월 18일
중군(中軍) 이현익(李玄益) 등이 제너럴 셔먼호 선원들을 추격하다 납치됨(19일 석방)
*출전 :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병인신미양요사>>, 108쪽

1866년 8월 12일
로즈(P. G. Roze) 제독의 프랑스 동양함대 경기도 남양 앞바다에 도착(병인양요의 배경)
*출전 : 국사편찬위원회, <<고종시대사>>1, 1967,

1866년 10월 2일
양헌수(梁憲洙)의 조선군 정족산성(鼎足山城)에서 프랑스군 150명과 교전,

30여명의 사상자를 내게 하고 격퇴(양헌수와 정족산성전투)
*출전 : 국사편찬위원회,<<고종시대사1>>,1969 289~290쪽 ;

국방군사연구소, <<한민족전쟁통사4>>, 1997, 73쪽

1871년 3월 27일
주청미국공사 로우(Low)와 로저스(Rodgers)사령관 휘하의 미국함대,

나가사키에서 조선으로 출발(신미양요의 배경)
*출전 :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병인신미양요사>> 205쪽 ;

이광린, <<한국사강좌>>5, 일조각, 1991, 51쪽 ;

김원모, <<근대한미관계사>>, 철학과 현실사, 1992, 397쪽

1871년 4월 24일
어재연(魚在淵)의 조선군, 광성보(廣城堡)에서 미군과 교전하여

부상자 20여명 외 전원 전사(광성보 전투)
*출전 : 김원모, <<근대한미관계사>>, 철학과 현실사,

1992, 468-472쪽, 504-507쪽 ;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병인신미양요사>> 226~231쪽, 13 560쪽

1875년 8월 20일
강화도(江華島) 수비대, 초지진(草芝鎭) 앞바다에 나타난

일본군함 운요오(雲揚)호와 포격전(운요오호 사건)
*출전 : <<고종실록>> 12년 8월 25일 ; 국사편찬위원회, <<고종시대사1>>,1969 799쪽

1882년 6월 5일
무위영과 장어영 군인들이 급료 체불과 지급 급료의 부정에 격분, 임오군란을 일으킴
*출전 : <<고종실록>> 고종 19년 6월 9일

1884년 10월 17일
김옥균(金玉均), 박영효(朴泳孝) 등 개화파, 우정국(郵政局) 낙성식을 이용 쿠데타를 일으킴(갑신정변)
*출전 : 국사편찬위원회,<<고종시대사2>>,1969 675-676쪽

1885년 3월 1일
영국 주청(駐淸)함대가 거문도를 불법 점령(1887년 2월 7일 물러남)
*출전 : 국사편찬위원회,<<고종시대사2>>,1969 732쪽 ;

이광린, <<한국사강좌>>5, 일조각, 1994, 197쪽

1894년 3월 20일
전봉준(全奉準)의 동학농민군 3,000여명 전라도 무장(茂長)에서 봉기함. 이른바 무장기포(茂長起包)
*출전 : 김인걸, <1894년 농민전쟁의 1차봉기>, <<1894년 농민전쟁연구>>, 1995, 역사비평사, 85쪽

1894년 6월 23일
일본군, 풍도(楓島) 앞바다의 청국군함을 격침시킴으로써 청일전쟁 시작됨
*출전 : 피터 두우스 저, 김용덕 역 <일본근대사>, ,지식산업사, 1989, 138쪽

1894년 11월 8일
동학농민군, 11월 11일까지의 우금치 전투에서 관군과 일본군에 패배하고 남쪽으로 퇴각
*출전 : 한국역사연구회, 1995, <<1894년 농민전쟁연구>>4, 역사비평사 141-166쪽

1895년 8월 20일
일본 군인과 낭인들 경복궁에 난입하여 훈련연대장 홍계훈(洪啓薰)전사하고

명성황후가 시해됨(을미사변)
*출전 : 국사편찬위원회, <<고종시대사>>3, 1969, 989쪽

1904년 2월 8일
일본연합함대, 뤼순(旅順)항 밖에서 러시아 군함 공격. 러일전쟁 시작됨
*출전 : 후지와라 아키라 저, 엄수현 역, <일본군사사>, 시사일본어사, 1994, 119-139쪽

1905년 5월 27일
5월 28일까지의 동해해전에서 일본군 연합함대가 러시아 발틱함대를 격파
*출전 : 후지와라 아키라 저, 엄수현 역, 〈일본군사사〉, 시사일본어사, 1994, 119-139쪽

1907년 8월 9일
수원진위대(鎭衛隊) 강화분견대가 봉기하여 일본군과 전투.

군대해산을 계기로 다수의 해산군인들이 의병합류(의병전쟁의 전개2(전면적인 민족전쟁 1907. 8-1909))
*출전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43, 1999, 416쪽

1908년 1월 29일
13도창의군 선발대, 서울 진공 작전을 개시하여

동대문 밖 30리 지점에서 일본군과 교전하였으나 후퇴(서울진공)
*출전 : 국방군사연구소, <<한민족전쟁통사4>>, 1997, 279

1920년 6월 7일
홍범도의 대한독립군 부대가 길림성 봉오동(鳳梧洞)에서 일본군을 공격, 150명의 사상자를 내게함
*출전 : 이재 외, <<한민족전쟁사총론>>, 1988, 교학연구사, 304쪽

1920년 10월 21일
김좌진, 이범석의 북로군정서 부대가 길림성 청산리 전역에서 일본군 5,000여명을 섬멸시킴
*출전 : 이재 외, <<한민족전쟁사총론>>, 1988, 교학연구사, 304쪽

1930년 1월 29일
이청천의 한국독립군 유격독립여단과 중국구국군 연합부대 서란현 전투에서 승리
*출전 : 이재 외, <<한민족전쟁사총론>>, 1988, 교학연구사, 315쪽

1933년 7월 20일
이청천 등의 독립군부대와 중국군 연합부대인 한중연합토일군(韓中聯合討日軍),

대전자(大甸子)전투에서 승리
*출전 : 이재 외, <<한민족전쟁사총론>>, 1988, 교학연구사, 322

1941년 12월 9일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일선전포고
*출전 : 국사편찬위원회, <<일제침략하 한국36년사>> 12, 855~856쪽

1948년 10월 19일
여수 주둔 14연대, 지창수 상사 등이 주도하여

제주도 출동 명령을 거부하고 반란을 일으킴(14연대 반란(여순반란)사건의 발발)
*출전 : 황남준, <전남지방장치와 여순사건>, <<해방전후사의 인식3>>, 한길사, 1995, 446-447쪽

1948년 10월 20일
14연대 반란군 미명에 여수읍 장악, 오후에는 경찰대를 격파, 순천 점령하고 보성과 곡성, 구례로 진출
*출전 : 황남준, <전남지방장치와 여순사건>, <<해방전후사의 인식3>>, 한길사, 447-449쪽

1948년 10월 22일
국군 12연대, 4연대, 2연대 등 진압군이 반란군의 저항을 분쇄하고 23일 오전 11시 순천 탈환
*출전 : 황남준, <전남지방장치와 여순사건> <<해방전후사의 인식3>>, 한길사, 1995, 452쪽

1948년 10월 27일
오후까지 국군 진압부대 여수 시내를 완전히 점령하고 소탕전을 완료

(14연대 반란(여순반란)의 진압과 영향)
*출전 : 황남준, <전남지방장치와 여순사건>, <<해방전후사의 인식3>>, 한길사, 1995, 455쪽

1950년 6월 25일
오전 4시부터 인민군, 남한에 대한 전면공격 개시(한국전쟁의 원인과 성격)
*출전 : 와다 하루키, <<한국전쟁>> ,창작과 비평, 1999, 70쪽

1950년 6월 25일
09시 30분까지 인민군 6사단 개성을 점령,

국군 1사단 임진강 대안의 방어선으로 후퇴(옹진, 개성 지역 전투)
*출전 : 국방군사연구소, <<한국전쟁(상)>> ,1995, 117쪽

1950년 6월 25일
국군 6사단, 인민군 2사단과 12사단의 공격으로부터 6월 28일까지 춘천 사수(춘천-홍천전투)
*출전 : 국방군사연구소, <<한국전쟁(상)>>,1995, 130-141쪽

1950년 6월 26일
13시경 인민군 의정부 점령, 국군은 창동으로 퇴각(의정부 전투)
*출전 : 국방군사연구소, <<한국전쟁(상)>>,1995, 126쪽

1950년 6월 28일
미아리의 국군 방어선 붕괴, 오전 11시 30분경 인민군 서울 중심부 진입.

저녁까지 시내 전역을 장악(서울의 함락)
*출전 : 국방군사연구소, <<한국전쟁(상)>>, 1995, 164쪽

1950년 7월 5일
스미스 부대, 오산에서 인민군 4사단 선두 전차대와 교전하였으나 큰 피해를 입고 후퇴(오산전투)
*출전 : 국방군사연구소, <<한국전쟁(상)>>,1995, 211쪽

1950년 7월 20일
미제 24사단의 대전방어선이 무너지고 사단장 딘 소장 고립되어 포로가 됨(대전전투)
*출전 :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한국전쟁 요약>>, 1986, 224쪽

1950년 7월 26일
7월 25일 미군지시에 따라

충청북도 영동군 주민 500여명, 황간읍 노근리 경부선 철로와 터널에서

미군의 공습과 기총사격으로 학살당함(노근리 양민학살)
*출전 : 서중석, <<조봉암과 1950년대 (하)-피해대중과 학살의 정치학>>, 1999, 역사비평사, 610-613쪽

1950년 8월 3일
인민군 제13사단 왜관 북방에서 낙동강 도하 개시, 8월 공세 시작
*출전 : 국방군사연구소, <<한국전쟁(상)>>, 1995, 309쪽

1950년 8월 10일
인민군 5사단에 의해 국군 3사단이 영덕에 고립되고, 8월 11일 인민군 포항 점령(포항-영덕전투)
*출전 : 국방군사연구소, <<한국전쟁(상)>>, 1995, 336쪽

1950년 8월 13일
국군 1사단과 6사단, 방어선을 축소하여 다부동과 군위를 잇는 선으로 이동.

인민군 3사단, 13사단, 15사단이 공격해옴으로써 다부동전투 시작.
*출전 : 국방군사연구소, <<한국전쟁(상)>>, 1995, 313쪽

1950년 8월 31일
인민군 제1군단이 낙동강 서부지역에서 일제히 총공세를 감행, 9월 공세 시작.
*출전 : 국방군사연구소, <<한국전쟁(상)>>, 1995, 341쪽, 357-362쪽

1950년 9월 15일
미제10군단 병력. 해병대를 선두로 인천에 상륙작전 개시(인천상륙작전)
*출전 : 국방군사연구소, <<한국전쟁(상)>>, 1995, 406쪽

1950년 9월 28일
국군과 유엔군, 서울시 전역을 완전히 장악 (29일 환도식)(서울탈환작전)
*출전 : 국방군사연구소, <<한국전쟁(상)>>, 1995, 423쪽

1950년 10월 19일
중국인민해방군 13병단 소속 4개 군, 최초의 중국인민지원군으로 압록강을 넘어옴(중국군의 참전)
*출전 : 洪學智 저, 홍인표 역, <<중국이 본 한국전쟁>>, 1993, 47쪽

1950년 10월 25일
중국군 40군 118사단이 국군 6사단 2연대를 매복 기습하고

온정리를 점령(중국군과 유엔군 간 최초의 교전)
*출전 : 洪學智 저, 홍인표 역, <<중국이 본 한국전쟁>>, 1993, 75 ;

와다 하루키, <<한국전쟁>>, 창작과 비평사, 1999, 200쪽 ;

자위대 육전사연구보급회 저, 이원복 역, <<한국전쟁(4)>>, 명성출판사, 1991, 340쪽

1950년 11월
1950년 11월 중순부터 2월 8일까지 전남 함평군 월야면, 해보면,

나산면 일원에서 다수의 민간인들이 빨치산으로 몰려 학살당함(함평양민학살)
*출전 : 서중석, <<조봉암과 1950년대 (하)-피해대중과 학살의 정치학>>, 1999, 역사비평사, 620-625

1950년 11월 1일
중국군 한국전쟁에서 최초의 공세를 시작, 39군 운산에서 미제1기병사단 격파(운산전투)
*출전 : 洪學智 저, 홍인표 역, <<중국이 본 한국전쟁>>, 1993, 84-88쪽

1950년 11월 24일
미 제8군 서부전선에 전쟁 종식을 위한 크리스마스 공세 돌입
*출전 : 자위대 육전사연구보급회 저, 이원복 역, <<한국전쟁(4)>>, 명성출판사, 1991, 281쪽

1950년 11월 25일
중국군, 덕천과 영변의 국군 7, 8사단을 목표로 역습. 총공세 시작(중국군의 2차 공세)
*출전 : 洪學智 저, 홍인표 역, <<중국이 본 한국전쟁>>, 1993, 117 ;

자위대 육전사연구보급회 저, 이원복 역, <<한국전쟁(4)>>, 명성출판사, 1991, 286-288쪽

1950년 11월 27일
중국의 심양(瀋陽)에서 소련 제64전투항공군단 창설, 극비리에 한국전에 참전하기 시작(소련군의 참전)
*출전 : 기광서, <소련의 한국전쟁관과 개입과정>

<<한국역사연구회 한국전쟁50주년 학술심포지움 발표문>> 68쪽

1950년 11월 27일
중국군 9병단 동부전선에서 공세 개시. 장진호에서 미해병1사단을 포위(장진호 전투)
*출전 : 洪學智 저, 홍인표 역, <<중국이 본 한국전쟁>>, 1993, 141-144쪽

1950년 11월 29일
중국군 38군과 42군, 군우리-순천 간 협곡지대에서 12월 1일까지 전투를 통해

미 제2사 단을 포위 섬멸함(군우리 전투)
*출전 : 洪學智 저, 홍인표 역, <<중국이 본 한국전쟁>>, 1993, 128-135쪽 ;

자위대 육전사연구보급회 저, 이원복 역, <<한국전쟁(4)>>, 명성출판사, 1991, 305-320쪽 ;

국방군사연구소, <<한국전쟁(중)>>, 1995, 217~227쪽

1950년 12월 14일
미제10군단과 국군 제1군단 흥남에서 철수 시작(24일 철수 완료)(흥남철수작전)
*출전 :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한국전쟁 요약>>, 1986 243-244쪽

1951년 1월 4일
유엔군, 서울에서 전면 철수하여 북위 37도선으로 후퇴(1.4후퇴)
*출전 : 군사문제연구소, <<한국전쟁일지>>,1991, 182쪽 ;

국방군사연구소, <<한국전쟁(중)>>, 1996, 308-318쪽

1951년 2월 10일
경남 거창군 신원면에서 2월 9일부터 11일까지 11사단 9연대 3대대에 의해

수백명의 양민이 학살당함(거창양민학살)
*출전 : 서중석, <<조봉암과 1950년대 (하)-피해대중과 학살의 정치학>>, 1999, 역사비평사, 625

1951년 2월 11일
중국군 13병단의 40, 42, 66군 및 39군 117사단, 제4차 전역(2월 공세)개시(중국군의 제4차전역(2월공세))
*출전 : 국방군사연구소, <<중공군의 한국전쟁>>, 1994,(원제 : <<抗美援朝戰爭簡史>>), 31쪽 ;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한국전쟁 요약>>, 1986, 245쪽

1951년 3월 16일
유엔군, 서울을 재탈환
*출전 : 국방군사연구소, <<한국전쟁 (중)>>, 1997, 436쪽

1951년 4월 29일
국군 1사단, 미제1기병사단, 미제 25사단 등 미제1군단이

한강 하구-구파발-쌍문동을 잇는 선에서 중국군의 4월공세를 최종 격퇴함(4월 공세 종료)
*출전 : 국방군사연구소, <<한국전쟁 (중)>>, 1997, 536-538쪽 ;

국방군사연구소, <<중공군의 한국전쟁>>, 1994,(원제 : <<抗美援朝戰爭簡史>>), 36쪽

1951년 5월 16일
중국군과 인민군, 제5차전역 2단계작전(5월 공세)을 개시하여

동부전선을 집중 공격하기 시작(중국지원군과 인민군의 제5차 전역2(5월공세))
*출전 : 국방군사연구소, <<한국전쟁 (중)>>, 1997, 550쪽 ;

국방군사연구소, <<중공군의 한국전쟁>>, 1994,(원제 : <<抗美援朝戰爭簡史>>), 37쪽

1952년 7월 11일
미 공군 평양지역에 집중적인 공습을 감행하여

1,400톤의 폭탄과 23,000갤런의 네이팜탄 투하(미군의 폭격)
*출전 : 이신철, <전쟁피해와 북조선사회의 변화>,

<<역사문제연구소 심포지움 발표문 : 한국전쟁은 민중에게 무엇이었나>>, 50쪽

1952년 8월 1일
미 제2사단, 중국군 106사단의 2주일에 걸친 공격을 격퇴하고 불모(Old Baldy)고지 확보
*출전 : 국방군사연구소, <<한국전쟁 (중)>>, 1997, 379-382쪽

1952년 9월 18일
조중연합사령부, 추계공세를 개시,

10월 31일까지 60개 진지에 77차례 공격(중국군과 인민군의 1952년 추계공세)

1952년 10월 15일
국군 9사단, 10월 6일부터 공격해온 중국군 38군을 12차례의 전투 끝에 격퇴하고

백마고지를 확보(백마고지 전투)
*출전 : 국방군사연구소, <<한국전쟁 하>>, 1997, 389-395쪽

1953년 6월 10일
중국군, 최후공세의 제2단계(6월 공세) 본격적으로 개시하여

금성돌출부 공격 시작(중국군과 인민군의 최후공세)
*출전 : 국방군사연구소, <<한국전쟁 하>>, 1997, 530

1953년 7월 27일
판문점에서 휴전협정 조인(휴전협정의 체결)
*출전 : 국방군사연구소, <<한국전쟁 하>>, 1997, 583 쪽

1961년 11월 14일
박정희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백악관을 방문하여 베트남 파병의사를 밝힘
*출전 : 홍규덕, <베트남 참전 결정과정과 그 영향>,

<<1960년대의 대외관계와 남북문제>>, 1999, 백산서당, 56쪽

1964년 5월 21일
정부, 국가안전보장회의 심의를 거쳐 베트남파병을 결정
*출전 : 국방군사연구소, <<국방정책변천사>>, 1995, 149쪽

1964년 9월 11일
제1차 베트남파병부대 출국, 9월 22일 베트남 도착
*출전 : 국방군사연구소, <<국방정책변천사>>, 1995, 151쪽 ;

국방군사연구소, <<건군50년사>>,1998, 205쪽

1965년 10월 3일
수도사단(맹호부대)과 해병2여단(청룡부대)의 3차 파월부대 중 해병대,

부산항에서 베트남으로 출발(11월 2일까지 파병 완료)(한국군의 월남참전)
*출전 : 국방군사연구소, <<국방정책변천사>>, 1995, 155쪽

1966년 8월 9일
수도사단 3대대 9중대, 1개 대대 규모의 북베트남군 공격을 격퇴(둑코 전투)
*출전 :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주월한국군전사2>>, 1968, 129-135쪽

1968년 1월 21일
북한의 특수부대 남파, 청와대 기습 시도(1.21사건)
*출전 : 나종삼,<<월남파병과 국가발전>>,국방군사연구소, 1996, 254쪽

1968년 1월 31일
북베트남과 남베트남민족해방전선, 남베트남 전역의 도시와 촌락에 대한 기습 감행(구정공세)
*출전 : 나종삼, <<월남파병과 국가발전>>, 1996, 국방군사연구소, 62쪽

1968년 2월 12일
베트남 쿠앙남성 디엔반현 퐁니촌에서 한국군에 의한 마을 주민 50여명 집단 학살됨.

한국군의 민간인 학살에 대해서는 2000년 9월 현재 약 80여건의 의혹이 제기됨.
*출전 : 고경태,

<진실을 말해 준 사람들-참전군인들의 증언을 통해 본 베트남전 당시 한국군의 민간인 학살>,

<<베트남전쟁과 한국군 파병에 관한 심포지움 발표문>>, 2000

1972년 4월 11일
수도사단 기갑연대, 북베트남군 3사단 12연대가 차단한 19번 국도를 개통하기 위한 안케 패스 전투 시작
*출전 : 나종삼, <<월남파병과 국가발전>>, 1996, 국방군사연구소, 75쪽

1972년 8월 11일
미군, 마지막 전투 부대가 베트남에서 철수하고 소수의 정리요원만 남김
*출전 : 나종삼, <<월남파병과 국가발전>>, 1996, 국방군사연구소, 79쪽

1973년 1월 27일
미국과 북베트남, 파리 휴전협정 체결
*출전 : 이영희, <<베트남전쟁>>, 두레, 88쪽

1973년 1월 30일
국군 9사단 베트남에서 철수 시작, 3월 23일까지 베트남 파병 국군 완전 철수 완료
*출전 : 나종삼,<<월남파병과 국가발전>>,국방군사연구소, 1996, 218쪽

1973년 3월 29일
미국의 철군 정리 부대가 떠남으로써 월남에서 완전히 철수
*출전 : 나종삼, <<월남파병과 국가발전>>, 1996, 국방군사연구소, 82쪽

===========================================================

 

2. 세계의 전쟁사

키루스 대왕의 정복 전쟁 B.C. 547-529
그리스-페르시아 전쟁 B.C. 499-448
펠로폰네소스 전쟁 B.C. 431-404
그리스 도시국가들의 전쟁 B.C. 395-362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전쟁 B.C. 334-323
1차 포에니 전쟁 B.C. 264-241
2차 포에니 전쟁 B.C. 218-202
3차 마케도니아 전쟁 B.C. 171-168
3차 포에니 전쟁 B.C. 218-202
갈리아 전쟁 B.C. 58-52
1차 삼두정치 전쟁 B.C. 60-44
2차 삼두정치 전쟁 B.C. 32-31
로마-게르만 전쟁 B.C. 16- A.D 16
로마에 대한 유대인의 폭동 66-73
훈족 아틸라의 전쟁 433-454
예언자 마호메트의 정복 전쟁 622-632
마호메트 계승자들의 정복 전쟁 632-732
샤를마뉴 대제의 정복 전쟁 771-814
바이킹의 유럽 침공 800-955
마자르족의 유럽 침공 895-955
에스파냐 국토회복운동 912-1492
노르만인의 유럽-지중해 정복 1061-1108
1차 십자군 전쟁 1095-1099
2차 십자군 전쟁 1186-1187
3차 십자군 전쟁 1189-1193
칭기즈칸의 정복 전쟁 1206-1227
알비주아 십자군 전쟁 1208-1229
튜턴 기사단 전쟁 1223-1466
칭기즈칸 계승자들의 정복 전쟁 1227-1287
스위스 독립 전쟁 1291-1394
스코틀랜드-영국 국경 전쟁 1295-1328
투르크-비잔틴 전쟁 1302-1461
백년 전쟁 1337-1453
태머레인의 정복 전쟁 1370-1405
장미 전쟁 1455-1485
스위스-부르고뉴 전쟁 1474-1477
에스파냐의 멕시코 정복 1519-1522
위그노 전쟁 1562-1598
네덜란드 독립 전쟁 1568-1648
에스파냐-영국 전쟁 1580-1603
30년 전쟁 1618-1648
영국 시민 전쟁 1642-1649
메타코멧의 전쟁 1675-1676
아우크스부르크 동맹 전쟁 1689-1697
북유럽 대전쟁 1700-1721
에스파냐 계승 전쟁 1701-1714
젠킨스의 귀 전쟁 1739-1744
오스트리아 계승 전쟁 1740-1748
7년 전쟁 1756-1763
푸가초프의 난 1773-1774
미국 독립 전쟁 1775-1783
프랑스 혁명기의 전쟁 1793-1799
나폴레옹 전쟁 1800-1815
트리폴리 해전 1801-1805
미영 전쟁 1812-1814
페루 독립 전쟁 1821-1823
그리스 독립 전쟁 1821-1832
프랑스의 알제리 정복 1830-1847
텍사스 독립 전쟁 1836
1차 아편 전쟁 1840-1842
1차 아프간 전쟁 1838-1842
미국-멕시코 전쟁 1846-1848
2월 혁명 1848-1849
태평천국의 난 0850-0864
크림 전쟁 1853-1856
2차 아편 전쟁 : 애로호 사건 1856-1860
세포이의 항쟁 1857-1858
이탈리아 독립 전쟁 1859-1860
아메리칸 인디언 전쟁 1860-1890
남북 전쟁 1861-1865
프랑스의 멕시코 원정 1861-1867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 1866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1870-1871
2차 아프간 전쟁 1878-1880
줄루 전쟁 1879
스페인-미국 전쟁 1898
보어 전쟁 1899-1902
러일 전쟁 1904-1905
발칸 전쟁 1912-1913
1차세계대전 1914-1918
러시아 혁명 1917
국공내전과 중국의 공산주의 혁명 1930-1949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1935-1936
스페인 내전 1936-1939
히틀러의 유혈 정복 1936-1939
중일 전쟁 1937-1945
2차세계대전 0939-1945
냉전 1945-1990
프랑스-인도차이나 전쟁 1946-1954
인도 내전과 인도-파키스탄 전쟁 1947-1948
이스라엘 독립 전쟁 1948-1949
한국 전쟁 1950-1953
쿠바 혁명 1956-1959
베트남 전쟁 1956-1975
6일 전쟁 1967
욤 키푸르 전쟁 : 4차 중동 전쟁 1973
아프가니스탄 내전 1979-1989
이란-이라크 전쟁 1980-1988
걸프 전쟁 1990-1991

반응형